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이형민 전문가
영남대학교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벌레없는 실내 적정 습도는 어느정도인가요?
벌레 없는 실내 습도는 대략적으로 40프로 정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너무 습하게 되면 곰팡이와 같은 식물들이생기기 쉽고 모기도 잘 활동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시는게 좋고 여름철에는 습도와는 상관없이 방충망 등으로 관리를 해주시는게 아니면 벌레가 아주 많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100Km 해저터널 건설에 필요한 과학적 기술적인 도전과제에 대해서
해저터널을 만드는것 자체가 아주 큰 과학 기술을 적용하는것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속에서 물의 하중을 견디는기술자체만으로도 어마어마한 기술이고 위험합니다. 그리고 이 압력을 버티면서 조금씩 나아가면서 전진해 나가는것 자체가 아주 대단한 일이라고 합니다. 더 긴 터널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좋은 설비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육교가 출렁거리거나 흔들릴 때 어떤 요인에 기인하는지 궁금합니다.
육교의 경우 생각보다 큰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면 바람에 의한 흔들림을 고려하여 설계를 하여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내진설계와 비슷한 개념으로 다리가 흔들리도록 설계를 한다고 합니다. 이는 차량이 지나다니면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서 생기거나 사람이 많이 지나다니면서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중에 의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레미콘. 차량의 시멘트는 왜 굳지 않나요?
레미콘 차량에 실려오는 시멘트의 경우 미리 혼합되어 있는 시멘트 입니다. 그리고 차량의 구조를 보시면 레미톤 차 뒤에 달려있는 통이 계속해서 돌면서 굳지 않도록 해준다고 합니다. 이는 물이 계속 흐르면 얼지 않는과학적인 기술과 동인 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된다면 굳을 수 있으니 빠르게 움직여 주시는게 좋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미국에는 왜 목조 건물이 많은지 궁금합니다.
미국에 목조 건물이 많은 이유는 지리적 특성에 의해서라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땅이 매우 넓어서 나무가 매우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나무의 가격이 저렴하여서 나무로 집을 짓고 재료가 많기 때문에 접근성으로써목조 건물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예전부터 전해내려오는 목조 건물이 많이 있기 때문에 역사적인 의미로도 많이 사용하고 전해내려 온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바닥 시멘트 공사 부실체크 가능한가요?
바닥 시멘트의 경우 말씀하신것과 장판을 깔면 확인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하자가 잘 없는 구역이기도 하지만 굳이 확인을 하자면 비파괴 검사를 해주시는게 좋다고 합니다. 이는 레이저를 쏴서 아래 부분의 파괴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장비를 활용 하는것인데 아주 유용하다고 합니다. 보통은 시멘트 밑에 온열이나 물의 흐름을 확인할 떄 쓴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화장실벽에 미장을 할때 시멘트와 모레 물의 비율알려주세요
미장을 할때는 시멘트와 모레의 비율이 아주 중요하다고 합니다. 화장실 벽면을 미장할때 사용하면 시멘트의 경우 1:3~4정도로 섞어 준다고 합니다. 너무 묽게 하면 붙지 않고, 너무 꾸덕하게 하면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율로 시멘트를 만들어서미장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 오는 날에는 타이어 바퀴가 더 잘 미끄러 지네요?
비가오는 날에는 타이어 바퀴가 더 잘 미끄러 지는것이 맞습니다. 타이어의 표면과 땅의 표면의 경우 거칠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마찰력에 의해서 접지력이 많이 생깁니다. 하지만 비가 많이 올 경우 바닥에 비가 고이면서 바닥의 거친면을 평평하게 해주고 타이어 또한 동일합니다. 거의 마찰력을 없애줌으로써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를 만듭니다. 이에 제동거리가 평상시보다 2배가 들어나기 떄문에 속도를 20프로 정도 줄이라고 하는것 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가 내린 후에 지렁이가 많이 죽어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렁이의 경우 땅속에서 호흡을 하며 땅에 이로운 효과를 주면서 생활을 하는데 비가 오면 땅속에 빗물이 들어오면서지렁이의 피부로 호흡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호흡을 위해서 지렁이의 경우 지표면으로 올라오는데 물이 있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물이 증발하고 해가뜸으로써 돌아가지 못하고 몸이 마르면서 죽어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해외가면 한국에서 사진찍을 때 소리나던 카메라음이 안나던데 어떤 원리 인가요??
우리나라의 경우 불법도찰로 인해서 법이 개정되어 촬영을 할때는 소리가 나도록 해야되는 법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모든 휴대폰의 경우 무음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모드가 없습니다. 굳이 한국에서도 사용해야 된다면 어플을 이용하면 무음으로도 촬영은 가능합니다. 이와 반대로 유럽의 경우 이에 대한 규정이 전혀 없기 때문에 소리가 나지 않고 사진을 마음대로 찍을 수 있다고 합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