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이형민 전문가
영남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스티커가 물이 묻으면 잘 안붙는 이유가 뭔가요??
스티커가 물이 붇으면 잘 안 붙는 이유는 먼저 물티슈에 붙어 있는 스티커의 경우 초기에는 변화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하지만 스티커가 붙는 피부착물의 부위에 물이 뭍으면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스티커가 잘 안붙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붙기 시작하면 스티커에도 이물이 붙기 때문에 접착력이 저절로 내려간다고 합니다. 따라서 스티커의 경우 점점 더 접착력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옛날에지은 아파트들은50년정도 내구성을가진다고 알고있는데, 요즘짓는아파트들은 몇년정도의 내구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에 지어지는 아파트의 수명의 경우 예전아파트들의 수명인 50년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전에는 단가보다는 안전이 중시되었기 때문에 재료를 아끼지 않고 사용을 했습니다 따라서 설계 안정하중보다더 많이 책정되어 지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겉은 낡아도 속은 오랫동안 간다고 합니다만 요즘 건물들은원가 절감 및 하청에 하청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재료비를 많이 내린다고 합니다. 따라서 설계 안정 하중보다 낮을 수 있어서 약 30~40년 정도 버티지 않을까 싶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가장 튼튼한 다리 구조물은 무엇인가요?
다리 구조물의 종류는 아주 다양하다고 합니다. 사실상 구조물의 형태도 중요하겠지만 어떻게 설계가 되는지가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들어가는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만 가장 강력한 다리의 모양은 사다리 다리라고 합니다. 단순하게 생겼을수록 강도가 점점 더 커진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바다 위 다리 현수교가 세워지는 과정과 원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바다위에 현수교가 세워지는 단계는 아주 복잡하다고 합니다. 먼저 바다의 유속과 현수교의 중량 및 차량이동 하중을 계산해서 설계를 합니다. 그리고 현재 공사를 하려고 하는 지역의 지반종류를 확인해서 기초 공사를 시작합니다. 땅을 잘 다져준 다음에는 기둥을 올리고 교각을 설치해서 이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선들을 연결을 하여 하중을 견디도록 해준다고합니다. 이는 유지보수가 편리해야 됨으로써 아주 고도의 기술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옥상방수는 어느계절에 하는것이 좋을까요
옥상 방수의 경우 비가 오지 않을 때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날씨가 너무 덥지 않은 봄이 좋겠습니다. 한번 바른 후에 완전 건조를 시키고 다시 발라주시를 약 2~3회 정도 반복해주신다면 아주 튼튼한 도장면을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일기예보를 잘 보시고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요즘 지반붕괴나 낙석사고 등 자연재해가 늘어납니다.
요즘에 지반붕괴가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설계 당시의 기후와 다른 실제 이상기온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상적으로 많이 오는 폭우로 인해서 지반이 약해지는 현상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이걸 복구하기도 전에추가로 비가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걸 수치로 나타내서 볼 수 없기 때문에 언제 어느 구간이 무너져버릴것인지는 아무도 알 수가 없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기차 선로 아래에 자갈들을 깔아놓은 과학적 이유가 무엇일까요?
기차 선로 아래에 깔려있는 자갈의 경우 여러가지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첫번째로는 기차가 달려올때 발생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주변에 소음을 전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두번째로는 배수의 역할입니다.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서 물이 고이는 부분을 만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햇빛이 반사되는것을 막아서 사람의 시야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도로면이 파여서 운행중 불편한 사항들은 어디에 민원제기를 해야되나요??
비나 눈이 올 경우에는 도로가 수분을 머금어서 강도가 약해졌다가 다시 햇빛이 비치면 강도가 강해지면서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고 그위에 수많은 차량이 지나가면서 자극이 전해지기 때문에 파손이 쉽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지속적으로 해줘야 사고가 나지 않는데, 이때 유지보수가 빠르게 되지 않는다면 관할 지자체나도로공사에 신고해주시면 처리를 해준다고 합니다. 2차 사고가 나지 않도록 조심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자동염수분사장치가어떻게작동되나요?
자동 염수 분사장치의 경우 그날의 기온과 환경에 맞춰서 틀어진다고 합니다. 센서가 있어서 센서를 보고설정된 수치까지 올라오게 되면 자동으로 분사되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건출물의 벽이 금이 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건출물 벽에 금이 가는것은 일반인이 봤을때는 아주 큰일이 나고 건물이 무너질 수 있다고생각 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시멘트로 만들어진 건물의 경우 열 수축과 팽장계수를 반영하여설계되어지기 때문에 내부에는 문제가 없으나 외부에 금이 갈 정도는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안전상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니 생각 안해도 되겠습니다.
106
107
108
109
1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