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으로 스크럽제, 치약, 세안제 등 1차 미세플라스틱과 페트병, 비닐 등 시간이 지나면서 쪼개져 발생하는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사람이 보통 일주일에 약 5g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미세플라스틱은 장건강, 호르몬 교란, 신경계 문제, 심혈관 위험 등 인간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그래서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수 대신 정소기를 사용하기, 비닐봉지 및 일회용 컵 등 일회용품 줄이기, 천연성분이 들어있는 천연소재 세안제나 샴푸 사용하기, 플라스틱 조리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스테인리스나 나무 소재 도구를 사용하기, 합성섬유 세탁 시 세탁망 사용하기 등으로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Q. 메뚜기를 방제하는데는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는데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메뚜기를 방제하기 위해서 화학적 방제, 생물학적(자연적) 방제, 기계적 방제, 지속가능한 농업 등으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물학적(자연적) 방제 방법은 메뚜기의 포식자인 새나 작은 포유류를 보호하여 메뚜기를 자연적으로 잡아먹을 수 있도록해 생태적 균형을 유지하여 메뚜끼를 억제 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천적의 도입이 잘못되면 다른 생물학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잘못된 천적을 도입 할 경우 생태계 혼란의 위험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지속가능한 농업 방제 방법은 메뚜기의 서식 환경을 파악하여 발생을 억제하여 생태계 조롸흘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농업으로는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초기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지속가능한 농업 방법은 장기적으로 볼때 생물 다양성을 증진 시킬 수 있어 환경과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 메뚜기는 인간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인데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메뚜기는 대량으로 번식하기 대문에 농업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메뚜기떼가 출현할 경우 지역의 농작물을 남겨두지 않고 황폐화 시키고 있어 식량 위기를 초래할 수 있어 해충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방제작업이 필요합니다.하지만 메뚜기는 고단백질 식품, 불포화 지방산, 비타민B군, 미네랄, 칼슘, 철분, 식이섬유 등 영향이 매우 풍부한 식픔으로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식량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