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임경희 전문가
규호측량토목설계사무소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바이오 연료의 제조 과정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바이오에탄올은 식물성 원료를 발효시킨 뒤 증류해서 만들며 탄수화물이 풍부한 옥수수,밀, 보리, 사탕수수 등의 식물이 바이오에탄올의 원료입니다.바이오 에탄올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제분 : 옥수수를 갈아 미세한 가루로 만든다.-액화 : 옥수수 가루와 물을 섞어 걸쭉하게 만들고 알파아밀라이제 효소를 넣어 가열한다.-당화작용 : 옥수수 반죽을 식힌 뒤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를 넣으면 녹말이 포도당으로 변한다.-발효 : 효모를 넣어 당을 발효시키면 에탄올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고 옥수수 반죽은 40~50시간이 지나면 맥주처럼 된다.-증류 : 맥주 같은 상태의 옥수수를 증류해 알코올 농도를 10%에서 95%로 높인다. 남은 옥수수 반죽 찌꺼기 등은 부산물 처리장차로 보대진다. (부산물 처리장으로 보내진 찌꺼기는 돼지 등 동물사료로 만듬)-탈수 : 알코올 분자는 통과하고 물 분자는 통과하지 못하는 필터로 걸러 물기를 제거해 무수에탄올을 얻는다.위의 공정을 통해 얻은 에탄올에 휘발유와 첨가제를 넣어 바이오연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바이오 디젤은 식물오일, 동물지방, 폐식용유 등 재활용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바이오 디젤올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전처리 : 원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원료를 바이오 디젤 제조에 적합한형태로 변환합니다.-변환 : 전처리된 원료를 화학적으로 변환합니다.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긴 체인의 지방산을 가진 식물 오일과 동물 지방을 짧은 체인의 에스터로 변환시킵니다.-정제 : 변환된 바이오 디젤에서 불순물과 부산물을 제거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바이오디젤의 품질을 높이고 성능을 향상시켜 연료로 사용합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
간호조무사 자격증 이미지
Q.  간호 조무사 실습은 필기시험후 언제까지 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간호조무사입니다.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이론교육(740시간) + 실습(780시간)을 이수한 후 국가고시 자격증 시험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있어요.이론교육과 실습을 마무리 해야 국시원에서 간호조무사 시험 접수 시 간호전문학원, 실습시작일, 실습종료일 등 정보를 입력해야 접수가 마무리되고 있어요.그리고 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 중 실기과목이 있는데 이는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네요.즉 필기시험에 실기과목이 있는것이라 생각하시면 될듯해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인간이 일상에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인간이 일상에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방법은 많이 있습니다.생활습관에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는데요.대중교통이용하기계단으로 오르기사용안하는 전기코드 빼기음식물쓰레기 줄이기분리배출 잘하기전기와 물 아껴쓰기냉난방시 적정온도 유지하기전자제품 1등급 사용하기친환경제품 사용하기 일상에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한다면 탄소중립에 스스로 동참하게 된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가장 피해가 컸듼 대표적인 원전사고 3가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세계 3대 원전 사고로 1979년 미국의 스리마일(TMI) 아일랜드 2호기, 1986년 구소련의 체르노빌 4호기,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라 할 수 있습니다.-1979년 미국의 스리마일(TMI) 아일랜드 2호기 : 방사성물질 방출은 경미하였지만 원전의 핵연료가 심하게 손상되었고 설계측면에서 인적 요소의 미흡함이 주원인이 되었습니다.-1986년 구소련의 체르노빌 4호기 : 원전 역사상 최악의 화재사고로 방사성 물질 방출되어 도시 전체가 큰피해를 보았습니다. 저출력에서 불안정성과 원자로 격납건물의 취약성 및 설계상의 문제점과 종사자의 절차 비준수로 인해 안전의식 결여가 주된 원인입니다.-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 거대한 쓰나미로 전력공급이 중단되어 냉각시스템이 마비되면서 핵연료가 냉각되지 않아 용융되어 수고의 농도가 높아져 폭발이 발생하여 격납용기가 손상되면서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등 피해가 컸던 사고 입니다. 주변 지역은 출입금지구역으로 지정돼 아직도 주민들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많은 곳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데요.그 중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개인의 노력과 생활습관이 필요한것 같습니다.필요한 만큼 구매하고, 냉장고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 적어두기, 식당에서 필요한 만큼 가져다 먹기, 배달음식은 먹을 수 있는 양 만큼 시키기 등 일상생활에서의 행동이 쓰레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이러한 생활습관은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보호를 실천하여 탄소중립에 동참하고 있는것 입니다.또한, 해년마다 늘어나는 음식물쓰레기는 처리업체로 이송되어 퇴비, 바이오매스 등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그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는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7517527537547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