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장인이 개인사업자 운영하는 경우 간이과세 일반과세중에 무엇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제 연봉, 매출 및 종소세를 고려하였을때, 매출이 낮을 걸 감안하여 일단은 간이과세로 등록하는게 맞을지, 아니면 나중에 종소세 감안하여 일반과세로 등록하는게 나을지 문의드립니다...종소세는 간이과세나 일반과세나 동일하게 매출-매입=소득을 기준으로 납부하는 세금이므로 어떤걸로 사업자를 내던 관계없습니다.부가세 절세를 위해서라면 간이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인테리어 및 물품비용 등을 세금계산서로 발급 받아서 추후 종소세 납부시기에 제출하는게 좋을까요? 혹시 그런 세금계산서는 사업자 개설 후 몇년 후까지 비용 처리가 되는지도 궁금합니다.세금계산서를 발급받으시어 간이과세자 부가세를 줄이시고 종합소득세 경비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세금계산서는 부가세 신고기한때 매입세액으로 공제하므로 간이사업자 부가세신고기간에 함께 신고하시면 됩니다.마지막으로, 올해는 몇개월 휴직 예정이라, 내년에 풀타임으로 복귀하게 된다면 연봉이 1억이 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사업소득은 변동없으나 근로소득이 높아지는 경우, 간이과세보다 일반과세로 비용처리하는것이 나은지도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앞서 말씀드린데로 종소세는 일반과세나 간이과세모두 비슷하므로 부가세 절세를 위해 간이사업자로 등록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