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길에서 누워서 떼쓰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떼쓰는 아이에게 부모가 감정적으로 대처하거나 겁을 주는 방법은 잠시 행동이 교정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길게 봤을때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시고 그래도 떼쓰기를 멈추지 않을 시에는 여기가 공공장소이고 아이의 행동이 옳지 않다는 것을 이야기 해주세요. 그땐 일관성 있고 단호하게 이야기 해주셔야 합니다.그런 다음은 계속 이렇게 떼쓰면 엄마가 억지로 안고 집에 갈거라고 이야기해 주세요. 이렇게 해도 쉽게 아이의 행동이 바뀌진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훈육은 몇십 번 반복해야 합니다. 단호하고 일관성있게 훈육하다보면 아이의 떼쓰는 행동이 좋아질 것 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길거리에서 때쓸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한번 쯤 은 떼쓰는 아이 때문에 난감했던 기억이 있을 텐데요. 떼를 쓰는 아이를 보면 화를 나기도 집에선 무시하거나 훈육할 수 있겠지만 여러사람이 있는 장소에서 이런 상황을 맞닥드리면 당황하기 마련입니다.일단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세요 부모가 평정심을 가지고 상황을 인지시키면서 마음을 다독여 주세요물론 아이들이 바로 말은 듣지 않을 겁니다. 이럴 땐 여기는 공공장소이고 떼쓰는 행동은 잘못되었다고 단호하게 이야기 해 줍니다. 그리곤 이런 방법으로도 아이가 떼를 계속 쓴다면 너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기다려 줬는데 계속 떼를 쓴다면 바로 집에 갈 수 밖에 없다고 단호하게 이야기해 주세요. 한번 만으로 아이의 행동이 바뀌진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일관성 있는 태도로 계속해서 훈육한다면 떼쓰기 행동은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어제부터 엉덩이랑 앞쪽이 빨갛게 됐는데 안돌아오네요 ㅠ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기저귀 발진 때문에 고민이신데요특히 여름철이 되면 더위와 맞물려 발진이 더 심해지기도 하는데료.기저귀 발진이 났을 때 비판텐 같은 연고가 도움이 됩니다. 그래도 발진이 없어지지 않는다면 기저귀를 자주 갈아 주시고 물티슈나 자극이 될만한 제품은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진 된 부위는 따뜻한 물로 씻어 주시고 잠깐이라도 시원하게 해주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써도 없어지지 않는다면 기저귀를 바꿔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이유없이 자꾸 울기만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이유 없이 우는 아기 때문에 많이 힘드신데요아이가 우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것을 말로 표현하지 못해 울음으로 나타내는 것인데요.기질적인 특성이나 언어발달 정도에 따라 표현방법을 모를 수 있습니다.육아에서 가장 기다려주는것은 매우 중요한것 같습니다. 아이 마음을 먼저 읽어주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표현하지 않아도 엄마가 아이가 느끼는 감정의 이름표를 붙여주세요.그리고 이럴 땐 울지 말고 말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고 알려주세요. 당장 좋아지진 않겠지만 엄마의 역할은 아이의 문제를 잘 다루어 주는것이라 생각합니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감정을 알려주고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켜주는 것은 성인이 되어서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잇는 중요한 문제라 생각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4살 말을 못하고 짐승처럼 울고 떼쓰는 아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떼쓰는 아이때문에 많이 힘드신 상황인데요4살은 자기 중심성이 강해지고 자기 주장이 강해지는 시기입니다.이때 언어 발달이 완벽하지 않아 원하는 것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 할 수 없어 떼를 쓰거나 짜증을 냅니다.말 그대로 불만을 말로 할 수 없어서 떼를 쓰는 거라 할 수 있는데요.아이에게 불만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를 알려주세요. 감정의 이름표를 붙인다 생각하시고 이것을 말로 표현해주세요. 아직 아기가 말을 잘 못한다고 하면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 주시고 "우리 00가 이래서 화가 났구나. 짜증이 났구나. 슬펐구나" 이렇게 알려주세요. 아이가 떼쓰는 모습을 보면 욱하는 순간도 많을 테지만 아이가 감정표현을 하다보면 떼쓰는 횟수도 줄어들 것입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