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22개월 우리 아기가 분유(우유)를 먹고 트름을 안할때가 많은데 아픈걸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22개월 정도이면 먹고 토하거나 배앓이등 다른 증상이 없다면 트름 안하는것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신생아때는 위와 식도를 이어주는 근육이 약해 트름을 안시켜주면 모유나 분유가 역류할수 있는데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트름입니다. 하지만 22개월정도면 위와 식도를 이어주는 근육이 조금 강화되므로 트름안하는것을 크게 걱정안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걱정되시면 분유를 먹고 바로 눕는 것은 좀 피할것을 권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매일 야근,회식하는 아내, 매일 애기보는 남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육아는 누구 한사람의 역할이 아니라 부부가 같이 하는것이라 생각됩니다. 부인의 잦은 외부활동으로 남편에게 육아의 부담이 더욱 가중된 상황인데요. 부부가 이부분에 대해서 진심으로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비난에 앞서 직장생활의 노고를 알지만 지금 상황에서 육아가 좀 힘들다. 이렇게 상황을 이야기하다보면 부인과 어느정도 조율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육아라는것이 여러 갈등과 시행착오를 거치지만 그어떤일보다 보람되고 숭고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13개월 아기 쪽쪽이 뗄려니까 너무 우네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13개월이몃 쪽쪽이를 떼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모유 수유에 방해가 되고, 중이염의 위험도 있으며 12개월 지나서 사용할 경우 앞니쪽에 변형을 가져 올수 있어 돌지날쯤 떼기를 많이들 권합니다. 떼는 방법 또한 여러가지이며 아이의 기질에 따라 쉽게 떼는 아이가 있고 또 어렵게 떼는 아이가 있습니다.6개월 이후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시고 사용빈도를 조금씩 줄여가 주세요. 13개월쯤이면 말귀도 잘 알아들으니 쪽쪽이를 하면 이런 안좋은 점들 때문에 사용할수 없다고 설명해주세요.
유아교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들 언제 잠을 재워야 키가 클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키가 크는 요인은 영양 수면 유전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수면은 성장 호르몬과 관련되어 있어 아주 주요한 요인인데요 보통 성장 호르몬이 분비되는 시간은 밤 10시부터 새벽 2시 사이로 이야기 합니다. 수면중 성장 호르몬이 급증하는 시간은 수면에 빠진지 1시간에서 1시간 반 후 깊은 수면에 들엇을때 뇌에서 서파가 나올때입니다. 어떻게 보면 단순한 수면 시간보단 얼마나 깊이 잠드냐가 중요하다고 할수 있는데요. 그러기 위해선 규칙적인 시간에 잠들기와 낮에 활동량을 늘여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과 세로토닌 분비가 활성화되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카페인 섭취나 자기전에 핸드폰을 보는 행위는 깊은 수면에 방해가 될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양육·훈육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3월 22일 고시한 '교육활동 침해 행위 및 조치기준에 관한 고시'의 주요 항목이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교육부는 3월 23일 "교육활동 침해 및 조치 기준에 관한 고시"에 대해 일부 개정안을 공포.시행했는데요최근 교육현장에서 만행되고 있는 교육활동 침해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대응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장 뿐 아니라 교원의 학생 생활지도 근거를 명시적으로 규정하도록 개정하였습니다.이번 고시 개정은 앞선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대응강화방안 발표 및 법령 개정의 후속 조치로 교원의 정당한 생활지도에 불응하여 의도적으로 교육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새로운 교육활동 침해 유형으로 규정하였습니다.이를 통해 교원의 학습 지도 권한 회복 뿐 아니라 학교의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모든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