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물건을 험하게 쓰는데 잘 쓰게 하는방법은?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여자아이보단 남자아이들이 장난감이나 물건을 잘 잃어버리고 험하게 쓰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여자아이들 보단 조심성이 떨어지고 챙기고 하는것에 약한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무리를 줄 정도가 아니라면 크면서 아주 많이 좋아지는 부분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정리정돈 하는 습관을 평소에 들이시고 물건을 소중하게 다루는 내용의 그림책을 같이 보는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친구한테 표현을 이상하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가 표현력이 부족하여 어머님이 걱정하고 계신데요. 가장 중요한건 아이를 다그치지 마세요. 말로 표현하는 것이 힘들어 행동이나 몸짓으로 표현하려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럴때 다그치기 보단 다음엔 이렇게 표현해보자 하고 격려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표현력은 하루 아침에 늘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활속에서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책을 많이 읽어주세요. 표현하는 것이 조금 힘들다면 집에서 책을 많이 읽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지금 우리아이들에게 독서는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독서를 하면 어휘력이 많이 늘기 때문에 표현력에 큰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500일 아기 언어자극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15개월아이들은 물이나 우유 같은 아기가 평소에 익숙한 단어들을 의미를 두고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아기가 정확하지 않은 발음으로 단어를 표현해도 아기의 표현에 적극적으로 반응해주고 정확한 발음을 드려 주세요 아기에게 어떠한 것을 물어볼 때 아기가 좋고 싫음의 의사 표현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됩니다. 몸을 흔들거나 고개를 저으며 자신의 의사를 타인에게 전달을 할 수 있습니다. 놀이를 하거나 무언가가 필요할 때 엄마나 아빠의 옷을 끌어당기거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아기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반응해주고 언어로 다시 한번 표현해주는 것이 아기의 언어발달에 효과적인 자극을 줍니다.자신의 의사를 간단한 단어와 몸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면서 아기들은 책을 읽어달라는 요청도 할 수 있습니다. 아기와 함께 그림책을 읽고 여러가지 놀이는 하는 것은 아기의 언어발달에 많이 자극을 줄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학교에서 딸이 따돌림을 받는것 같은데 어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들이 저학년때 다양한 친구들과 두루두루 사귀었다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회적 관계가 깊어지면서 아이들은 자연스레 마음이 맞고 성향이 비슷한 친구들끼리 그룹을 만들고 단짝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룹짓기는 여학생 사이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남학생보다 감정적 성숙이 빠른 여자아이들은 관심사나 취향이 맞는 소집단 안에서 안정감과 소속감을 얻는 경향이 있습니다. 친구 관계가 좁고 견고해지면서 그 안에서 다양한 갈등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왕따 문제는 자녀에게 돌이킬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나길 수 있으므로 부모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심한 따돌림을 당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면 먼저 담임 선생님께 피해 여부를 알리고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부모가 자녀를 통해 확인한 피해 사실과 담임 선생님이 학생들과의 개별 상담을 통해 확인한 내용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며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가해 학생들이 잘못을 진지하게 반성하지 않거나 개선의 의지가 부족하고 또 피해자 입장에서 가해 학생들의 처벌을 원한다면 먼저 변호사를 대동하여 학폭위원회에 신고함으로 주어진 절차에 따라 가해 학생들을 처벌 할 수 있습니다. 변호사를 대동 하고 안하고의 차이는 큽니다. 처벌을 원하는 경우는 변호사 대동하에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밥을 먹을때 밥을 안먹고 돌아다니는 습관이 있을때에는 어떻게 교육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가 돌아다니면서 식사할 경우 몇가지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은데요.되도록 하루에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아이는 내가 이밥을 다 먹지 않아도 어차피 나중에 엄마가 맛있는 간식을 줄거라는 것을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몇번의 경험이 아이에게 강하게 인식이 되어 습관이 될수 있는데요. 밥을 다 먹지 않으면 간식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또 식사시간에 아이가 의자에서 내려서 놀려고 하거나 돌아다니려고 한다면 세번까지 경고를 주고 계속 고집을 부리면 그냥 하고싶은대로 하게 내버려두세요. 하지만 다음 식사시간까지 음식을 제공하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가 바르게 앉아서 식사를 하면 많은 칭찬과 좋아하는 간식을 제공하여 올바른 식사습관 행동을 강화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또 부모가 모두 다 같이 식사시간에 식사를 하면서 올바른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1~2세 영유아가 탄산수를 먹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실수로 조금 먹인 것이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기의 내장기관은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조금의 자극에도 크게 반응합니다. 특히 탄산수 같은 경우는 아이의 위나 목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딸 아이가 사춘기인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가 사춘기가 되면 부모는 아이의 행동을 이해못하고 그런 부모를 아이들은 이해못합니다. 정말 만나면 싸우는 날들이 많은데요.사춘기는 뇌의 리모델링 과정을 거치는 시기로 자극을 받으면 이성의 뇌가 아닌 감정의 뇌로 우선 반응한다고 합니다. 그 특징으로 부모의 무표정이나 슬픈 표정만 봐도 자신을 경멸하거나 위협하는 것으로 느낀다고 하는데요. 그러니 부모가 작정하고 아이의 행동을 지적하게 되면 더욱 거세게 공격과 방어의 행태를 띨 것입니다. 개별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로 부모의 말에 순종하기 보다 아니다라고 느끼면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며 이때 이성적인 판단과 고분고분한 말투는 아닙니다. 하지만 아이가 고분고분한 말투가 아니라도 대답을 하는 거면 괜찮은 편입니다. 진짜 심각한것은 말대꾸 조차 하지 않는 대화단절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부모로써 한발 물러써서 아이가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이제는 통제보다는 지지가 더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아들이 수학문제 푸는 걸 너무 싫어합니다.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공부는 억지로 시키면 아이들이 더 하기 싫어하더라구요. 수학을 싫어한다고 수학학원을 보내거나 더 시키려 한다면 부작용을 클 것 같습니다. 보드게임이나 수학관련 학습만화책 등 요즘은 아이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수학관련 컨텐츠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이런것들을 통해서 아이와 함께 참여하다 보면 아이에게 동기부여가 되고 관심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레 학습과도 연결 될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아이가 아무것도 안하고 멍하게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들이 상상속에 빠져 있거나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있을 때는 잠시 가만히 놔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른들이 명상 하듯이 아이들도 잠시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러다 달콤한 낮잠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아이가 잠시 멍한 시간을 즐긴하면 방해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느긋하게 즐기는 휴식시간은 엄마도 아이도 충전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멍 때린다고 해서 무슨 큰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쉬지 않고 안달복달 조급증을 낼 때 일은 발생합니다. 느긋하게 기다려 주세요.
유아교육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자녀와 대화할 수 있는 주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초등학교2학년)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들과의 대화때문에 고민이신데요. 모든 관계에서 제일 중요한것은 대화라고 생각하는데 대화의 기본을 지키며 아이와 소통하는 것이 아이들과 시간을 잘 보내는 부모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대화주제는 아이가 평소 좋아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게임이나 요즘 인기있는 아이돌 이야기로 슬쩍 시작해보세요. 그래야 아이가 관심을 가지고 대화에 동참을 것입니다. 그 다음은 아이의 의견을 물어보고 같이 게임을 해보자고 하거나 아이돌 콘서트등으로 대화를 확장해가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요즘은 아이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부모가 많은 노력을 해야하더라구요.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