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은 다이아몬드입니다. 다이아몬드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결정체로 강도가 매우 높고 단열성, 내구성도 뛰어나며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도 높은 물질입니다. 분자 구조 자체가 밀도가 높아 단단하기 때문에 여러 공구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항공기 좌석 옆 창문에 구멍은 왜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 창문에 작은 구멍이 있는 이유는 내부의 기압차를 견디기 위해서인데요. 비행기의 창문은 3개의 투명 아크릴판으로 되어 있고 3개 중 중간 판에만 구멍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만약 구멍이 없을 경우 급격한 기압 차로 인해 3장 모두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중간 판에 구멍이 있으므로 공기가 구멍을 통해 흘러 여압이 흘러 바깥쪽 판은 깨지겠지만 나머지 판으로 버티는 것입니다. 과학적 안전장치이므로 안심하셔도 되겠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건전지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를 세계 최초로 만든 사람은 1885년 일본인 야이 사키조우라는 사람에 의해 처음 제작됐습니다. 건전지를 직접 발명한 이유는 전기의 힘을 이용해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연속전기시계의 개발을 하기 위해 1887년 탄소봉을 사용해 최초 개발을 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이젠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지대는아닌거같은데 지진이 왜일어나는지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일시적으로 땅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고 그로 인해 땅이 가라앉거나 솟아오르는 등 지각에 있는 판들이 움직이게 되는 것을 지진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땅에 힘이 가해질수록 지각에 있는 판들이 움직이면서 서로 충돌 및 분리가 되는데요.최근 우리나라에도 포항, 경주, 괴산, 등 지진이 발생하면서 이제는 안전지대는 아닌 상태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초전도체는 처음에 누가 발견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 초전도체가 발견된건 1911년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라는 사람이 고체 수은의 저항을 헬륨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측정하다가 확인되었습니다. 4.2k의 온도에서 저항기 갑자기 사라진 것을 발견했는데 이후 1913년 납의 초전도가 발견되고 이후에도 여러 물질에서 발견되었습니다.말씀하신대로 상온 초전도체가 상용화된다면 산업 혁명이 한 번 더 일어날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존층이라는 것은 파괴되면 자연복구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이 파괴되었다고 자연 복구가 불가하지 않습니다. 과거 오존층 파괴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상당히 많이 회복된 상태입니다. 그럼 오존층이 복구가 많이 되었지만 아직도 기후 문제가 발생되는 이유는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너무 높아졌기 때문인데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로 인해 천체 표면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지구에 머물게 되면서 자연스레 대기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효과를 온실효과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지구의 온도 상승이 어느 시대때보다도 가파른 상황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판다의 아기(새끼)는 왜 작은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판다는 소화기관이 육식동물이지만 주식은 대나무인 즉 초식을 하기 때문에 기초대사량이 적은 상태로 살아가기에 필요 에너지양도 적고 임신 중에 필요한 칼슘도 부족하기 때문에 태아가 작게 태어나는 쪽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실제로 성체인 판다는 엄청난 양의 대나무를 먹어 체중을 유지하며 먹지 않을 때는 대부분 잠자는 시간으로 보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판다는 언제부터 대나무를 먹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판다는 유전자 변이로 인해 고기 맛을 느낄 수 없게 되면서 주변에 있는 대나무를 먹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대나무를 쥘 수 있게 가짜 엄지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소화기관은 육식동물에 맞춰져 있다보니 대나무를 먹어도 영양분을 온전히 얻기가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청난 양의 대나무를 섭취하는데요. 많은 양도 섭취하고 움직이는 시간을 줄여 최대한 에너지를 아끼기 때문에 먹고 자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가을철에 유독 하늘이 높게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이 유독 높고 파란 이유는 가을에는 대기 속 수증기 양이 줄어들고 건조한 대기 상태가 유지되면서 작은 물방울 형태가 적어지고 파장이 짧은 파란빛의 산란이 더 잘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늘이 파란색을 띄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높은 이유는 지표면에 닿는 태양빛이 적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지 못하면서 하층운이 생성되지 않고 상공에서 상츤운이 보이게 되면서 높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공룡이 갑자기 사라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공룡이 갑자기 멸종된 이유는 여러가지 추정이 있지만 가장 지지를 받고 있는 설은 소행성이 지구로 충돌하면서 엄청난 분진이 하늘을 뒤덮게 되었습니다. 하늘을 뒤덮게 되면서 햇빛이 지표면에 닿지 않게 되면서 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가게 됩니다. 공룡들은 털이 없고 추위에 취약한 형태가 많기 때문에 적응하지 못하고 순식간에 멸종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먹이사슬이 무너지게 되면서 공룡시대는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