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향유고래는 얼마나 깊이 잠수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향유고래는 한시간 반동안 잠수한채로 수심 2,000m까지 잠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나 잠수를 오래할 수 있는 이유는 고래의 근육에 비밀이 숨어 있는데요. 바로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에 산소를 저장하기 때문입니다. 마치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과 비슷한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는 진화된 종인가 고등 외계인으로부터 창조된 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외계인의 존재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여러가지 미확인 비행물체라던지 외계생명체에 대한 정보들은 많이 있지만 정확한 정보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외계인으로부터 지구인은 창조되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그에 반해 인류가 진화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화석 또는 신체 구조, 등 증명할 수 있는데요. 흔히들 아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호모에렉투스, 호모사피엔스까지 계속된 진화과정에서 도구, 벽화, 등 흔적들이 발견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금의 현대인까지 진화되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전기차는 왜 화재 발생 건수가 많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배터리가 화재가 나는 경우는 충전도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충전을 할 경우 배터리 내에 셀에 데미지가 누적되면서 스웰링 현상이 일어나면서 열폭주로 인해 셀간 전이가 되면서 연쇄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배터리팩 내에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이러한 팩들을 관리하는 BMS가 존재합니다. BMS란 Battery Management System으로 간단하게 배터리를 관리하는 부품이라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대한 safety가 적용되어 있지만 만약 셀에 데미지가 누적된다면 동일하게 화재가 날 수 있겠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일상생활에 필수품인 종이는 어떠한 화학적 원리로 만들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를 톱으로 잘게 썰어낸 다음 생겨난 톱밥으로 펄프화해야 합니다. 펄프라고 함은 잘게 썰어낸 톱밥을 물에 넣고 흘러가는 과정입니다.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얇게 펴내게 되는데 이를 초지라고 합니다. 이렇게 얇게 생산된 막을 건조시키게 되는데요. 건조가 완료된 상태를 우리가 사용하는 종이가 되겠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젤리는 어떤 화학적 성분의 결합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젤리는 말랑말랑한 특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물질을 분류할 때는 고체, 액체, 기체로 나누게 됩니다. 이 때 젤리는 3가지 중 하나로 분류하기가 난감한데요. 젤리는 고체도 액체도 아닌 바로 겔 또는 콜로이드 상태라고 부릅니다. 겔은 고체의 형태를 가졌지만 일반적인 단단함의 고체는 아닌 물질들을 말합니다.그렇다면 젤리는 어떻게 만드는지 말씀드리자면 주 재료는 바로 젤라틴입니다. 젤라틴은 열을 가하게 되면 액체 형태로 녹게 되고 식게 되면 다시 굳게 되는데요. 식으면서 교차결합으로 인해 3차원 그물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말랑말랑한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이 가만히 있는데 벌이 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가만히 있을 경우에는 벌이 공격하지 않습니다. 꿀벌의 경우에는 봉침을 찌르게 되면 내장까지 딸려나오면서 죽게 되는데요. 이렇게까지 공격하는 경우는 충분한 위협을 느꼈을 때 공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움직임 또는 공격성을 띄지 않으신다면 쏘이지 않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사람의 머리카락은 평생 무한정으로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머리카락은 수명이 존재합니다. 평균적으로 사람의 머리카락 개수는 10만 개정도 되는데요.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하루에 0.3 ~ 0.5mm 정도 머리카락이 자라며, 하루에 약 50개정도 머리카락이 빠지게 됩니다. 이렇게 꾸준히 자라고 몇몇 가닥들은 빠지면서 성장을 거듭하다가 약 5~7년 정도 자라나게 되면 그 이후로는 휴지기를 가지면서 더 이상 자라지 않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설탕을 가열했다가 식을때 딱딱해지는 건 어떤 과학적 원리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설탕을 물과 함께 끓이게 되면 융해되면서 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는데요. 이때 물이 증발하게 되면 설탕 농도가 높아지고 설탕 결정끼리 결합하게 됩니다. 결합된 설탕은 고체처럼 굳게 되는 것이지요.​설탕 자체를 알면 더 쉬운데요. 설탕은 당밀을 코팅한 형태로 당밀 자체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가루 상태로 유지가 됩니다. 하지만 당밀 속 수분이 증발하게 되면 설탕 결정끼리 붙게 되면서 덩어리지게 되는데 이를 딱딱해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러닝할때 왜 입으로 숨쉬는 것 보다 코로 숨쉬는게 더 좋은지?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러닝을 할 때 초반에 입으로 숨쉬는 것보다 코로 최대한 숨쉬는 것이 좋은데요. 말씀하신대로 입으로 들이마시는 게 훨씬 공기를 많이 들이마실 수 있지만 입으로 계속 들이마시다보면 쉽게 기관지가 건조해지면서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최대한 코로 숨쉬는 것이 좋습니다. 코로 숨쉬는 것이 불편하다보니 천천히 연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안개는 수증기인가요?? 아니면 비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를 비와 수증기 중에 어떤 것이냐를 반드시 선택하자면 수증기에 가깝지만 정확히 따지자면 수증기는 아닙니다.수증기는 물이 증발하면서 기체의 형태로 나타는 것을 수증기라고 하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수증기가 온도나 기압, 습도, 위치,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안개, 구름, 서리, 등으로 변할 수 있는데요. 안개는 대기 중 수증기가 증발하면서 올라갈수록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으로 응축되면서 우리 눈에도 확인이 가능한 안개가 형성됩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