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네필림?? 정말 존재하던 인류의 조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흥미로운 얘기이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고 실제로도 존재하지 않습니다.추락천사와 인간의 여성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거인족인 네필림은 신화 속 인물로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전자기기를 사용하면서 왜 발열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기기가 다양하다 보니 핸드폰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핸드폰을 장시간 게임을 하게 되면 배터리 부분이 가장 뜨거운 것을 느끼신 적이 있으실텐데요. 고사양 성능을 충당하다보니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고 그 에너지를 배터리에서 가져오다보니 배터리 셀 내에 활성화되면서 열이 쌓이게 됩니다.간단하게 전자기기가 구동을 할 때 전기에너지를 땡겨 쓰게 되면 에너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열이 쌓이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현재 어떤 종류의 친환경 로켓 기술이 개발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로켓을 만들고 날리게 되면 추진력을 얻는 부분은 맡은 역할이 끝나면 그대로 공중에서 버리기 때문에 비용, 환경적인 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이를 개선하고자 로켓을 날릴 때 추진력이 끝나면 다시 출발지로 돌아오게하는 기술이 이미 성공했는데요. 이는 큰 기술 혁신으로 비용뿐만이 아닌 환경적인 면에서도 크나큰 성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로켓 자체 원자재들은 추진력을 버텨야하기에 친환경 소재를 접목하지는 않았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달의 뒷면은 왜 보지 못할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뒷면을 보지 못하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속도와 달의 자전 속도가 일치하면서 볼 수가 없게 되서인데요.그렇기 때문에 달은 지구의 한쪽면만 볼 수 밖에 없습니다.만약 지구와 달의 거리나 공전 또는 자전속도가 바뀌게 된다면 달의 뒷면을 볼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지구온난화가 일어나는 원리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자외선이 그대로 지구 표면에 도착하게 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된 것인데요.원래라면 오존층에서 한 번 자외선이 걸러지고 지표면에 태양열 복사에너지가 도착해야하지만 필터링 없이 지표면에 도달하면서 지구온도가 올라가고 빙하가 녹으면서 이는 가속화가 되고 있기에 개선하기에 쉽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지구과학 용어 중에 집괴암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집괴암은 화산에서 분출된 불순물들이 덩어리들끼리 모여 쌓여서 암석화 작용을 통해 퇴적암이 된 것을 말하는데요.보통 분출물이 쌓이다보니 배열이 균일하지 않습니다. 화산에서 분출되었다보니 암편과 암편 사이에는 마그마로 메운 경우가 있겠습니다.
화학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드라이아이스는 왜 만지면 뜨겁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를 만지게 되면 극저온으로 인해 동상이 걸리는데 마치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고통을 동반하기 때문입니다.만약 화상을 입게 된다면 피부의 온도와 드라이아이스 간의 온도차로 인해 피부와 피부 사이에 물집이 자리 잡힐 수 있습니다.드라이 아이스는 되도록 안만지는 것이 제일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이런 경우에도 초파리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과일 껍질을 둘 경우 초파리가 생기는 경우는 초파리가 과일에다가 알을 낳았기 때문에 구더기가 생기는 것인데요.과일 껍질을 가열할 경우나 가열하지 않을 경우나 병 안에 완전 밀봉으로 과일을 넣게 되면 초파리가 안으로 침투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과일만 썩게 되지 별도의 구더기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구더기가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초파리도 태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죠.즉, 과일 껍질 또는 음식물만으로는 초파리가 생길 수 없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9월 9일 작성 됨
Q.
전자레인지로 해동한 음식물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음식을 데우게 되는데요. 음식물 안에 있는 물분자가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면서 회전 운동을 통해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그로 인해 음식물이 데워지게 됩니다.여기서 만약 계속해서 마이크로파를 통해 물분자를 소모시키게 되면 수분기가 없어진 음식물은 딱딱하게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인간이 착용하는 것 외에도 강아지나 고양이가 착용하는 특수한 종류의 "우주 슈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 이외에도 말씀하신 강아지도 특수 슈트가 있습니다. 과거 인간과 강아지와 함께 우주로 나간 적이 있습니다. 우주를 나가기 위해서 우주복은 필수이기 때문에 우주복 없이는 우주 여행이 힘들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