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9월 6일 작성 됨
Q.
겨울에 강물은 어는데 물고기는 어떻게 사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강물이 전체가 얼지 않고 윗 부분인 표면이 얼게 되는데요. 표면만 얼다보니 오히려 차가운 냉기로부터 막아주기 때문에 역으로 단열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마치 이글루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겠습니다. 표면만 얼기 때문에 물고기가 살아있는데는 지장이 없으나, 물이 아무래도 차갑기 때문에 이전과 달리 움직임이 최소화되고 기초 대사량도 낮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 생존 확률을 높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6일 작성 됨
Q.
홍채 인식 기술은 어떤 원리에 의해서 사람을 구분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홍채 인식은 카메라로 우리의 둥근 눈에 있는 홍채를 읽은 다음에 이 둥근 홍채를 평면으로 쭉 펴서 이미지화 시킨 다음 전, 후 비교를 통해 인식하게 되는데요. 홍채는 지문보다 더 정확도가 높아 말씀하신대로 사람 개개인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미래에는 홍채를 통해 개인 정보 관리가 될 수 있겠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6일 작성 됨
Q.
왜 크로마키는 초록색이나 파란색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크로마키는 초록색이나 파란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유는 아무래도 우리 사람의 피부색과 보색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체내에 피가 흐르기 때문에 보통 피부에는 붉은색 또는 노란색이 있기 때문에 초록색이나 파란색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영상 합성하는데 어떠한 영향성을 안받기 위해서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6일 작성 됨
Q.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미세 플라스틱은 어류에 축적되는 것에 대해 과거에 논란이 되었습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체내에 쌓이게 되면 여러 질병을 야기시키는데요. 최근 연구 결과로는 조직염증, 면역세포 억제, 내분비계, 심뇌혈관계에 독성영향이 끼치게 됩니다. 이렇게 계속된 축적으로 인간 몸에 쌓이게 된다면 기형 또는 발달장애도 유발이 가능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6일 작성 됨
Q.
육상 동물 중에는 전기뱀장어처럼 전기를 내뿜는 종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를 내뿜는 생물은 말씀하신 전기뱀장어와 전기메기가 있는데요. 가오리 또한 포함이기 때문에 주로 해양생물에게 나타나고 있습니다.육지 동물 중에서 전기를 내뿜는 동물은 없지만 미약한 전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통해 주변을 감지하여 먹이활동을 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동물은 도마뱀이 있겠습니다. 곤충 중에서도 미약한 신호를 통해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결론은 전기뱀장어처럼 전기를 내뿜는 육지 동물은 없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5일 작성 됨
Q.
방탄 조끼나 방탄 유리의 과학적 원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방탄 유리나 방탄 조끼의 경우 총알이 날라와 유리 또는 조끼를 뚫으려고 하는데요. 이 때 총알은 엄청난 회전운동으로 표면에 부딪히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총알의 날오는 속도와 회전력을 버텨야 뚫리지 않는데요. 보통 한겹으로 막기엔 작용 반작용으로 엄청난 충격이 착용자에게 전달됩니다. 따라서 한 겹보다는 여러 겹과 충격흡수 소재를 이용하여 총알에 실린 힘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됩니다.방탄조끼 또는 방탄유리의 핵심은 여러 겹을 이용해 총알의 힘을 상실시키게 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5일 작성 됨
Q.
높이올라갈수록 더울까요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지표면과 가까울수록 온도가 올라가고 지표면과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은데요. 말씀하신 높은 곳일수록 온도는 낮아지게 됩니다.보통 높은 곳일수록 태양과 가까우니 온도가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요. 우리 태양으로부터 태양에너지가 지표면으로부터 흡수가 되고 흡수된 에너지가 복사되면서 복사에너지가 방출되는데요. 이때 지표면과 멀이질수록 에너지를 잃게 되기 때문에 높은 곳일수록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5일 작성 됨
Q.
사람(인간)은 왜 늙을까요? 그리고 왜 죽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늙는 이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생능력들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레 세포분열이 멈추게 되서인데요.세포분열 중에 염색체의 텔로미어가 있는데 이 텔로미어가 계속해서 짧아지게 되는데요. DNA가 복제될 때 짧아진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하겠습니다. 쉽게 말해 세포분열에서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진다면 우린 늙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5일 작성 됨
Q.
산에서 자연발화하여 산불이 일어났다는 뉴스를 본 기억이 있는데요. 나뭇잎과 흙만 있는데 날씨가 아무리 덥더라도 불이 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발화라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인간이 관여하고 있는데요. 자연발화 중에 석유나 휘발유와 같은 휘발성 제품들이 묻어 있는 천 또는 제지류에서 강한 햇빛이나 아주 작은 스파크만으로도 불이 타게 됩니다.곡식 저장소나 비료공장, 목재소 같은 창고에서 아주 미세한 분말이 공기 중에 가득차게 되면 아주 작은 스파크만으로도 불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자연발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는 우리가 버린 쓰레기 더미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5일 작성 됨
Q.
산소가 없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가 없이도 지구에 생존하고 있는 생물들이 있습니다. 모든 생물은 바다에서 온 것처럼 바다 생물인데요.바로 미생물들입니다. 심해 바다에는 알싸리라는 미생물이 있습니다.어떤 미생물들은 산소 없이 호흡을 하는데 이런 호흡을 혐기성 호흡이라고 합니다. 뜨거운 온천탕이나 빙하 속에서도 미생물들이 생존하는 것도 이러한 끈질긴 생명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