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9월 2일 작성 됨
Q.
고기를 구울 때 왜 고기 바깥쪽 부위보다 중심부에서 가장 느리게 익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아무래 불판 위에 고기를 올리게 되면 불판의 온도를 올리고 불판이 뜨거워지면서 고기의 표면부터 익게되는데요.불판에서 고기의 표면으로 열전달이 되고 최외곽부터 내부까지 열전달이 이루어지지만 열전도율이 벨런스 있게 고기에 퍼지기 어렵기 때문에 겉부터 익는건데요. 골고루 익히기 위해 칼집을 내는 등 방법이 있겠습니다.
2023년 9월 2일 작성 됨
Q.
커다란 소음만으로도 유리창이 깨질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소리의 주파수와 유리의 주파수가 서로 공진하게 되면 공진현상으로 인해 깨지게 되는데요.물체는 모두 고유진동수를 갖고 있는데요. 이 고유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가하면 진폭이 증가하면서 결국 안에서부터 깨지게 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외력은 소음이 될 수 있겠습니다.예전에 다리가 무너진 일이 자주 있었는데 위와 동일한 현상으로 다리에 바람이 계속 가해지면서 공진현상으로 인해 무너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023년 9월 2일 작성 됨
Q.
상온 초전도체에 대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는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느 도체를 일컷는 말입니다.그렇다면 초전도체는 임계 온도 이하의 초저온에서 금속 또는 반도체, 등의 전기 저항이 없고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외, 내부 자기장을 형성하여 반자성을 띄는 현상인데요.현재 상온 초전도체를 발견했다고 발표되는 순간 전세계가 난리가 났지만 결국 미국에서 논문으로 발표한 것은 결국 현실성이 없다고 발표하면서 분위기가 사그라들었는데요.임계 온도 이하로 가야하기 때문에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유지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아직은 기술의 발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023년 9월 2일 작성 됨
Q.
현재 지구의 과학기술로 냉동인간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과학기술로는 냉동까지는 가능하나 해동해서 소생할 수 있는 기술이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 하고 있는 방안은 냉동보관하고 해동해서 소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할 때까지 반영구적으로 냉동보관하는 것인데요.먼저 냉동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면 죽기 직전 순간에 신체에 있는 피를 뽑아내는데요. 피를 뽑아내지 않을 경우 혈액이 얼으면서 신체 또는 장기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몸에 있는 혈액을 빼내고 혈액 대신 특수액체를 넣어 내부 기관 손상을 방지 합니다. 그 다음 영하 196°C의 액체질소에 냉동보관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023년 9월 2일 작성 됨
Q.
물고기 나이를 측정할때 기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 나이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이석, 비늘이 있습니다.이석은 내이에 있는 부위인데요. 이석은 귀 안에 탄산칼슘 결정체인데 물고기의 평형감각을 유지시켜줍니다. 이석은 계속 자라나는 특징이라 나무의 나이테처럼 물고기 나이를 알 수 있습니다.비늘은 물고기만 갖고 있는 특징으로 패턴에 따라 나이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431
432
433
434
4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