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돌지난 아기에게 주스 줘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생당근을 갈아서 주는 것은 아이의 소화 상태에 따라서 안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생 야채는 익혀서 먹여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뭐든지 조심해야 할 시기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애들이 밥을 잘 안먹을때 소화효소가 들어간 영양제를 먹여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몇 살 정도 됐을까요 너무 어린 아이들에게 함부로 영양제를 먹여서는 안됩니다 반드시 의사와 상담을 한 후 먹여야 합니다 아이가 평소에 소화를 잘 시키지 못한다면, 먹는 음식의 종류를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임신 중 태아성별에 의해 나타나는 임산부의 몸상태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여아의 생식기는 임신 11주에남아의 생식기는 임신 13~14주 경에 완료됩니다 임신 20주 이후부터는 남녀 차이를 명확하게 구별가능합니다. 옛부터 볼록하면 여아인 경우가 많다고는 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 잘때 원래 잠꼬대를 많이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잠꼬대의 원인은 대부분 스트레스가 원인입니다.최근에 아이 일상에 생긴 변화가 심리적인 부담을 주지는 않는지 살펴 보셔야 합니다. 또한 잠꼬대를 줄이기 위해선 잠 자기 전에는 편안한 음악을 들려주거나,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들 수 있는 활동을 준비해 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기 혼자 놀게 하는게 두뇌발달에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를 혼자 놀게 하면 두뇌 발달에 더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 같습니다 보통 어린 아이들은 재미와 새로움에 대한 욕구가 높기 때문에 단조롭고 정적인 놀이를 하다보면 혼자 노는 것에 대해서 대부분 금방 싫증을 내기 때문에 부모든, 친구든 같이 노는 게 아이의 두뇌 발달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과일을 자주 주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채소는 당분이 적은 반면에 영양가가 매우 많지요. 그에 반해 과일은 주로 당분과 수분, 적은 양의 식이섬유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하루 적정량만 섭취하면 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 창의력 길러주는 방법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창의력 발달에는 책을 읽어 주거나, 미술을 활동을 같이 하거나, 또는 블럭이나, 퍼즐 등의 활동도 창의력 발달에 도움이 된답니다. 뭐든지 꾸준히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3일 작성 됨
Q.
19개월 애기 잠들기전에 팔꿈치를 꼬집는행동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9개월 정도 된 아가들은 자신의 신체와 타인의 신체에 관심이 많답니다 그래서 엄마 아빠 팔을 꼬집었을 때의 느낌이 좋아서 자주 꼬집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팔을 꼬집으면, 화를 내기 보다는 다른 쪽으로 관심을 바꿔 주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하루 몇 시간을 재워야 하죠?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어느 정도의 나이인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2세 이하는 최소한 13시간 이상은 자야 합니다. 그리고 4세 아이는 11시간6세 아이는 9시간 30분 정도 수면을 취해야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어휘력도 안 좋고 어눌해여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휘력이 너무 안 좋으면, 책을 자주 읽도록 해주거나, 부모님이 자주 읽어 주세요. 그리고, 말을 할 때 천천히 또박또박 아이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씀을 해주셔야 합니다 언어 발달 검사를 받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496
497
498
499
5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