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둘째가 첫째가 건들기만 해도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둘째의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형이 건들면 민감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첫째를 잘 설득해서 다른 공간에서 놀게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첫째가 둘째와 있을 때는 되도록 부모님 중 한 분이 함께 있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어린아이에게 부모가 식사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줘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유식을 시작한다는 것은 아이가 음식을 씹어서 삼키는 것을 뜻하므로, 아무래도 부모의 모습을 보고 그대로 따라해야 하기 때문에 자주 아이들 앞에서 밥 먹는 모습을 보여 주라는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주 울거나 심하게 버릇이 나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떼 쓰는 습관이 굳어진 경우도 있습니다. 부모가 일관된 훈육을 하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의 떼에 반응을 보여 주지 마시고, 아이의 떼가 멈추면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 주는 게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아기가 모기에 물린건지 부어올랐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모기에 물리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너무 어린 아가들은 살충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함부로 모기향을 피워서도 안되므로, 모기장을 설치하고 안전하게 재워야 할 것 같습니다. 얼음을 귀에 살짝 대주면 가려움증이 사라질 것입니다.
놀이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친구가 딸을 낳았습니다 언제볼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친구분이 딸을 낳아서 보고 싶은 마음은 충분히 이해가 가지만,갓 태어난 신생아의 면역력은 제로이기 때문에 같이 있는 엄마, 아빠도 아이를 안을 때, 수유할 때, 기저귀를 갈 때 등 모든 순간 마다 손을 깨끗이 씻고 아이를 대할 수 밖에 없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남) 조카가 유튜브에서 속옷룩북을 보았다고 얘기하네요 유튜브 계정을 잠시 성인인증모드로 되어있었나봐요 이럴땐 어른으로서 어떻게 말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를 비난하거나, 야단을 치는 것은 역효과를 가져온답니다. 충격적인 영상에 많이 놀랐을 아이를 다독여주며, 이해해주고, 설명을 해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핸드폰 게임만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게임을 하기 전에 게임 시간 약속을 정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만 게임을 못하게 하기 보다는 가족 모두가 핸드폰 등 미디어 사용 시간 약속을 정하고 서로 지키려고 노력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3살 여아 아이인데 양치를 정말 안할려하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좋아하는 케릭터 칫솔을 준비해 보기 바랍니다 칫솔에 흥미가 생겨서 아이가 양치질을 잘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양치질을 할 때 아낌 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놀이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애가 그네에서 떨어지고 난후부터 짜증을 많이 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예전과 다르게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면, 병원을 다른 곳으로 옮겨 보셔야 할 것 같아요. 다른 병원에서도 괜찮다고 한다면, 아이가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황이 생긴 것일 수 있으니 낮 활동을 점검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9일 작성 됨
Q.
유아치과 진료시 불소치료 필수일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불소가 하는 일은 치아 우식의 예방 효과입니다불소는 세균의 대사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산 생성을 억제 시킨다고 합니다.의사 선생님이 불소 도포를 하냐고 물어봤다면 구지 하지 않아도 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 진료시엔 정확하게 물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696
697
698
699
7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