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끈임 없는 조심성 잔소리 대화 말말 말?!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호기심도 많고, 언제 어디로 향할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존재이므로, 항상 옆에서 계속 주시해야 하며, 끊임없이 바른 행동에 관련해서 말을 자주 해줘야 아이의 행동도 바뀔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기가 자주아플때는 면역력 강화를 어떻게시켜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매일 햇볕을 자주 보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햇빛을 통해 비타민 d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아이와 하루에 30분 정도 야외 활동을 꼭 하기 바랍니다.그리고, 아이에 체온을 높여 주는 것도 면역력을 높여 준답니다. 따뜻한 물에 목욕을 시키는 것도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입니다.샤워보다 입욕을 하게 되면, 백혈구의 림프구와 과립구가 균형을 이뤄 면역력 증가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충분한 수면과 충분한 영양섭취는 가장 면역력을 끌어 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기 체온조절 다들 어떤방식으로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여름이라고 너무 시원하게 하면 냉방병이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야 할 것 같아요. 두꺼운 옷 보다는 얇은 옷을 입히시고, 밤에도 얇은 이불을 덮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29개월 여아 변비 관련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배 마사지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많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기가 너무 힘들어하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애가 하루종일 훌쩍 거리는습관 어찌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훌쩍 거리는 게 아마도 습관이 굳어져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크게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도 중요해요관심을 두면 아이는 그 해동을 더 반복하게 될 수 있어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3세 아이가 갑자기 예민하고 울음도 많은데 사춘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3세 때는 자아가 생기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이 시기쯤 아이가 쉽게 화를 내고 떼를 쓰고 고집이 늘어나는 것이랍니다.아이가 고집을 피운다고 야단을 치기 보다는 차분하게 아이에게 설명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에게 화를 내게 되면 아이의 정서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신생아부터 걷기까지 행동발달 상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생후 6개월이 되면 아기가 앉는 자세를 할 수 있습니다. 생후 7,8개월 정도 되면 기기 시작합니다. 12개월 정도 되면 걸을 수 있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자기주장이 너무강한아이 어떤식으로 교육을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무섭게 하거나, 야단을 치게 되면 아이들은 더욱 더 반항심이 생길 수 있으니적당히 타협을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그리고 아이의 마음이 누그러졌을 때 대화를 시도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왜 자꾸 달릴까요? 에너지가 넘쳐서일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어른처럼 자제력이 아직은 부족하기 때문에 하고 싶은 것은 바로 바로 하기 때문에 자꾸 달리고, 움직이고 그런 것 같습니다 이런 행동에 대해 아이를 나무라서는 안됩니다 나무라게 되면 아이에게 상처가 되고, 스트레스가 되므로아이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친구들이 하자는 데로 하고 끌려 다니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시고, 칭찬을 자주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가정에서도 부모가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시고 언제든지 편하게 말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706
707
708
709
7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