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내년에 4살되는 아이 어린이집문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와 부모와의 애착 형성을 위해선 36개월까지는 가정에서 보육 하는 게 아이의 정서에도 좋을 것입니다. 일찍 보내게 되면 면역력이 취약해서 감기를 달고 사는 것 같으니, 어느 정도 면역력이 갖춰지면 그 때 보내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이제 돌아기 한글을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한글을 가르친다는 개념 보다는 알려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책을 많이 읽어 주시면 아이의 언어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책도 자주 읽어 주시고, 말도 자주 해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이불, 책 등을 이로 뜯는 아이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급하신 내용대로 아이가 이가 나기 시작하면 이가 간지럽고,또한 이가 아파서 뭔가를 물어 뜯는 경우가 많답니다. 이럴 땐 낮에 오이나, 당근을 얇게 썰어서 물어 뜯게 하는 것도 이 앓이 해소가 될 수 있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기어 다니는 시기에 궁금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기어 다니는 시기는 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7,8개월 정도에 많이들 기어다닙니다 기어다니게 되면 무릎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는 더 어두워지는 데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테니 너무 염려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성기를 잡는 줄 알고 혼냈는데 바지 앞부분을 계속 잡아요. 다른 사람들이 오해를 할까 걱정인데 왜 옷의 특정 부분만 잡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행동이 습관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이를 나무라거나, 크게 반응을 보이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다른 쪽으로 관심사를 돌려 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기 배변 훈련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배변훈련은, 아이가 걷는 근육이 발달하는 18개월에서 24월 사이에 배변훈을 시작하면 될 것 같습니다.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대변을 가리는 시기는 29개월 정도, 소변은 32개월 정도에 가능하게 되도록 배변훈을 지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지금처럼 아이가 소변을 보는 시기가 일정하면 부모가 먼저 케치를 해서 소변 보러가자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 눈에 뭐가 들어갔을때는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눈에 뭔가가 들어 갔다고 부모님이 일부러 빼려고 하면 안됩니다. 아이가 너무 힘들어하면 안과를 가시고, 살짝 불편하다고 하면 조금 더 지켜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자라면서 기본적인 성격 형성은 어느 기간에 마련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성격은 가정 생활 환경 및, 부모의 양육태도 등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고 합니다. 차분했던 아이가 주변 환경에 의해 활발해지기도 하고 활발했던 아이도 차분해 지기도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29개월아기 배변습관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가 느끼기에 변기 보다는 아직은 기저귀에 응가를 하는 게 심적으로 편안하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답니다. 아기가 변기에 응가를 할 때 박수를 쳐주시고 잘했다고 칭찬을 해주세요아이도 엄마의 반응을 보고 자신이 잘한 행동임을 알고 또 반복된 행동을 할 것입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유치원생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고 있는 아이한테, 큰 소리로 일어나라고 말을 하기 보다는 아이의 팔과 다리 등을 마사지를 해주면 아이도 기분좋게 일어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706
707
708
709
7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