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혹은 개발하고 있는 상용화가 가능한 양자컴퓨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도 양자컴퓨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인데요. 대표적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있는 양자 기술연구단에서 초전도 방식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LG등 대기업들도 관련 기술에 투자중이고, 정부 차원에서도 양자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서 연구를 지원하고있습니다. 다만 양자 컴퓨터는 워낙 복잡한 기술이라서 상용화까지는 아직 시간이 조금 걸릴것으로 보고 있고, 일반적인 상용화는 2030년대 이후쯤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지금은 기초 기술을 쌓고 있는 단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Q. 고등학교 생기부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쓰는 간단한 공유 플랫폼을 만들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코딩을 잘 모르더라도 간단한 공유 플랫폼은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책이나 물건을 서로 빌려줄 수 있는 시스템처럼 아이디어를 정하고, 블록체인처럼 거래 내용을 바꿀 수 없게 기록된다는 개념만 적용해도 충분합니다. 예를 들어 노션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해 대여 기록을 남기고, 중요한 내용을 블록체인 테스트 사이트에 한줄로 기록해보는 식입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작은 기능부터 따라 만들어보면 생기부에 쓸만한 경험이 될 것같습니다
Q. 핸드폰 완충 시키면, 충전기 제거해주는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요즘 나오는 스마트폰은 대부분 완충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멈추는 보호회로가 있어서, 배터리가 100% 상태에서 충전기를 계속 꽂아두더라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계속 꽂아두는 게 좋은 습관은 아닙니다. 충전이 완료되면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지만, 미세하게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생타가 계속 될 수 있고, 이게 배터리 수명에는 조금씩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 충전기 자체에도 계속 연결되어있으면 발열이나 전력 낭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