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에스로반을 바르시고 효과가 없다는 것은 그 원인에 세균성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제가 댓글로 다시 말씀을 드렸는데, 제가 한 표현 중에 원인이 세균성이 아니다는게, 에스로반 성분인 무피로신이라는 항생제가 효능을 보이는 세균이 원인이 아닌 것 같다는 것인데, 제가 오해를 불러일으켜 죄송합니다.항생제마다 각각의 효능을 보이는 유효균주들이 다르기 때문에 모낭염이라고 하더라도 반드시 에스로반과 같은 무피로신 성분의 연고가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무피로신 성분의 연고가 효과가 없다면 다른 계열의 항생제로 경구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피지 분비가 원인이라면 피지분비 조절제를, 모낭충이 원인이라면 모낭충에 효과적인 성분을 사용하게 됩니다.오해를 불러일으켜 죄송하고,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두통이 잦은데 두통약을 계속 먹어도 될까요?ㅗ다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두통이 심한 경우가 빈번하다면 일단은 한번쯤은 꼭 병원을 방문하시어 특정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두통은 아닌지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우선이겠고, 병원에 가시기 전까지 지금처럼 두통이 올 경우에는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시는 것은 크게 문제가 없겠습니다. 소염진통제 성분마다 정해진 하루 최대 용량이 있으므로 그 용량 내에서 복용을 하시는 것이 좋겠고, 혹시라도 하루에 커피와 같은 카페인 음료를 많이 드시는 분이라면, 카페인 섭취를 서서히 줄여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모더나 접종후 소염진통제 먹어도 돼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모더나 접종 후 타이레놀인 아세트아미노펜 보다 소염진통제가 효과가 좋다고 하는 것은, 모더나 접종으로 인한 심낭염, 심근염 등의 염증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소염 작용이 없어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소염해열진통제의 경우에는 소염작용을 통해 면역반응이 감소하여 항체의 형성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아세트아미노펜의 해열진통제를 먼저 복용하시라고 추천드립니다.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시고 나서도 발열, 두통, 몸살 등의 증상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러한 경우에 이부프로펜과 같은 소염진통제를 드셔보시는 것이 좋을 듯하며, 혹시라도 가슴 통증 또는 불편함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이지엔6 최대복용량에대해서..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이지엔6가 종류가 다양한데, 덱시부프로펜/이부프로펜/나프록센 등 성분에 따라서 최대용량이 다릅니다.덱시부프로펜 성분은 1알당 함량이 300mg 함유되어 하루 최대 1200mg(하루 4알까지)까지 복용이 가능하고, 이부프로펜 성분은 1알당 함량이 200mg 함유되어, 하루 최대 3200mg까지 가능하지만, 보통은 200-400mg으로 4-6시간 간격(하루 8알까지)으로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나프록센 성분은 1알당 함량이 250mg 함유되어 하루 최대 1250mg(하루 5알까지)까지 복용이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감기약 이지엔6 복용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일단 처받받으신 약에도 타스펜이알서방정 이라고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해열진통제가 들어가 있긴 합니다만, 약 복용 후 30분-1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두통이 있다면, 이지엔6 이브를 한알 정도 드셔도 괜찮겠습니다.이지엔6이브에는 이부프로펜이라는 소염해열진통제와 파마브롬이라는 이뇨제, 즉, 붓는 증상에 사용되는 약이 같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지금처럼 당장의 다른 약이 없는 경우에는 드셔도 되겠지만, 가능하면 파마브롬이 들어있지 않은, 소염해열진통제만 들어 있는 제품을 드시는 것이 조금 더 낫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고혈압 약과 전립선 비대증 약을 같이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전립선 비대증약으로 대표적인 것은 요도 괄약근을 이완하여 소변이 시원하게 나올 수 있게 도와주고, 잔뇨감 개선에 효과가 있는 알파1차단제와 전립선의 크기를 줄여주는 5-알파환원효소억제제 입니다. 환자분의 상태, 전립선 크기 등을 고려하여 두 종류의 약을 다 사용하기도 하고, 또는 알파1차단제만 사용하기도 합니다.(다른 불편한 증상이 있다면 이 두가지 약 말고도 배뇨 등에 도움 주는 다른 약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고혈압약을 복용하시는 분들은 일부 알파1차단제 약물을 주의하셔야 하는데, 알파1차단제는 전립선 쪽 뿐만 아니라 혈관의 확장에도 관여하여 혈압을 낮추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알파1차단제 중 테라조신, 프라조신, 독사조신 등의 성분이 특히 그러하며, 혈압약과 같이 복용시에 혈압을 너무 낮추어 어지럼증, 두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나온 탐수로신, 실로도신 등의 성분은 혈관보다 전립선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들이므로 혈압약과 복용하시더라도 어지럼증, 두통 등의 부작용이 덜 나오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최근에 나온 성분이 더 좋다는 개념은 아니며, 혈압을 동반한 전립선 비대증의 경우에는 의사선생님의 판단에 따라 오히려 테라조신, 독사조신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알파1차단제 중 어떠한 약을 드시더라도, 혈압약과 같이 드시기 보다는 혈압약은 아침에 기상하고 나서 나오는 호르몬, 신경 활성 등의 영향으로 혈압이 높아지므로 아침에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고, 알파1차단제는 혹시나 모를 어지럼증 등을 대비하는 목적과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자는 동안의 잦은 소변으로 수면이 방해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저녁 또는 자기 전에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혹시라도 전립선 비대증 약을 복용하시면서 너무 어지럽거나 두통이 있다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꼭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여 약물을 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알약 트리메부틴말레산염 100mg~200mg 계속 먹으면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트리메부틴 성분의 위장약은 말씀해주신 것 처럼 위장관의 운동을 조절하는 효과로 구역, 구토, 소화불량, 속 쓰림 등 다양한 위장질환에 사용가능한 약입니다. 트리메부틴은 1회 100-200mg 으로 복용하여 하루 최대 600mg까지 복용이 가능하며 식사에 관계없이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트리메부틴은 얼마나 복용하느냐는 사실 정해져 있지 않으며, 처방으로도 사용되는 약인데,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장기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트리메부틴은 하루에 꼭 3번 다 복용하실 필요는 꼭 없으며, 지금처럼 탈모약 복용 후 그 때만 속이 불편하신 거라면 하루 1번만 또는 그 불편한 증상이 있을때만 드셔도 괜찮겠습니다.하지만, 트리메부틴을 드시면서 속이 불편한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더 잦아진다면 그때에는 트리메부틴에만 의존하시지 마시고 꼭 병원에 방문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