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
정준원 전문가
큰길엔지니어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토목에서 땅을 팔떄 가장 중요한건 먼가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당연히 땅을 굴착할때 밑에 설치된 배수관이나 배관등을 확인해야 합니다.그전에 지반조사를통한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공사현장에서 깃발들의 색깔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우선 깃발은 크게 삼각형, 사각형, 큰사각형으로 나뉘며 개발시작 진행 마무리단계를표시합니다.흰색 노란색 파랑색 빨강순서로 삼각형은 수용, 지체, 순항, 완료를 뜻하며 사각형은 택지지역범위, 통신전기 기반시설, 상하수 가스, 개발도로를 뜻합니다.큰사각형은 흰색이없고 노랑부터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을 뜻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가로수가 많은데요. 가장많은 가로수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가로수로 가장 많이사용되는 종류는 은행나무 입니다.산림청에 선정조건이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목공방을 차리고 싶은데 필요한 자격증이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관련 자격증으로 국가자격증인 목공예기능사, 목공지도사, 목공DIY교육사등 민간 자격증도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신축 건물 필로티는 구조적으로 약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주창장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구조며, 하중을 지지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화재나 지진시 취약해서 문제가 발생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건물을 지을때 내진설계는 의무 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 의무규정은 1988년도에 도입되어, 내진설계 기준을 개정해 2층이상 200㎡ 이상인 건축물에 내진설계를 의무화 했습니다.일본을 예로 들면 일본은 지진이 많기 때문에, 주택등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확인 신청후 건축기준법에서 정해진 내진설계 기준에 부학하여야 인전된것만 건설이 가능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높은 건축물을 설계하거나 공사를 할때에는 어느정도 이상의 건설사들이 건축을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높은건축물등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때문에 우리가아는 메이져 건설사들이 참여할 수 밖에 없습니다.작은 건설사들이 건설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이 많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비오는날 도로차선이 잘보이게 하려면 공사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차선도색을 할때 사용하는 도료가 처음에는 빛을 잘 반사하다가 나중에는 오래되어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저가 도료 사용으로 인한 문제 입니다.이를 방지하기위해 최근에 물방을 안전차선이라는 것을 시범적으로 설치 하기도 했습니다.기능성 도료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실시공 업체가 없어져야 할 것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요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건물을 건축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국내에도 시공사례가 있다고 알고있는데 언제 상용화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국내에는 아직 관련 인증이나 안전기준 , 규정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건축법상 사람이 들어가 주거하는 건축물은 3D 프린팅으로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기술적인 한계도 있어서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3d프린터를 이용해서 어떻게 그 큰 건축물들을 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기술력의 발전으로 가능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더욱더 발전하게 될 것입니다.현재까지는 크기제한이 있습니다. 지금의 기술로는 거대한 건물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따르고, 큰 규모로 만들기 위해서는 보다 크고 강력한 3D 프린터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