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인여드름 관리 방법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인 여드름은 사춘기 여드름과는 달리 주로 여성에 3배 이상 많습니다. 사춘기 여드름과는 달리 턱과 입 주위에 더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환자의 얼굴에 피지 분비도 많지 않습니다.악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약물, 담배, 생리 등이 있습니다. 성인 여드름은 활발하게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시기에 많이 생깁니다. 사춘기 여드름보다 유병 기간이 더 길고 치료 반응이 느리게 나타나며 흉터도 잘 생깁니다. 삶의 질도 더 저하되므로 치료를 적절하게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인 여드름의 치료 원칙은 일반 여드름과 같아서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드름 정도에 따라 약제를 먹거나 바르게 됩니다. 이 중 뺨이나 턱에 있는 여드름은 병변이 깊고 염증이 심한 경향을 보입니다. 염증 후 피부 붉어짐, 색소 변화, 흉터 발생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여드름 치료 시 주의해야 할 10가지• 적절한 세안으로 청결한 얼굴을 유지합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얼굴에 손을 대지 않습니다.• 더러운 손으로 여드름을 짜거나 긁지 않습니다.• 자가진단이나 자가 처방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편안한 마음을 가집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치료합니다.• 여드름 특효약에 유혹 되지 않습니다.• 의사의 지시를 충실히 따릅니다.• 외출하고 돌아오면 바로 세안을 합니다.• 머리를 자주 감습니다.출처ㅡ 국가건강정보 포털 의학정보
Q. 무좀은 어떻게 하면 확실하게 뿌리뽑죠?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무좀은 잘 낫지 않는 병은 아니지만 잦은 재발로 인해 치료되지 않는 병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갖게 되고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면 금세 치료를 중단을 합니다. 이렇게 증상이 없어졌다고 균이 죽지 않은 상태에서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완전히 죽지 않은 곰팡이에 의해 다시 무좀이 재발합니다.. 또한 여러 부위에 무좀이 있는 경우 모두 함께 치료해야 하는데 손, 발톱 무좀과 같이 치료 기간이 긴 무좀까지 같이 치료하지 않고 발 무좀 증상만 호전되었다고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손, 발톱에 남은 곰팡이에 의해 다시 무좀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가족 중에 무좀 환자가 있는지 확인하여 가족 모두가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개인이 치료가 완전히 되어도 가족 내 다른 무좀 환자에게서 재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무좀 치료시에는 항진균제가 치료의 기본이 되는데 크림이나 연고, 네일라카, 스프레이형, 파우더형 등 외용제와 먹는 약으로 구분되며 무좀 부위와 증세에 따라 투여 시기가 다릅니다.국소 항진균제는 1일 2회씩 병변과 주변부에 도포하고 항진균제를 사용하기 전에 급성 염증이나 2차 감염이 있으면 습포나 항생제 등으로 치료 후 진균 감염에 대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각질층의 비후가 심하면 살리실산이나 요소연고를 사용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증세가 약하거나 손발에만 무좀이 있을 때에는 외용제로도 가능하나 증세가 심하거나 손, 발톱까지 감염됐다면 경구 항진균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염이 의심될 때는 민간요법 등에 의존하지 말고 즉시 피부과를 방문하여 적절한 항진균제의 복용과 도포로 빠른 시간 내에 무좀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무좀 예방법칙 5가지(1) 발을 매일 씻는다.(2) 씻은 후에는 발을 완전히 말린다. 특히 발가락 사이를 잘 말린다.(3) 여름철에는 꼭 끼는 신발을 피하도록 한다. 여름철에는 샌들을 신는 것이 가장 좋다.(4) 양말은 반드시 면양말로 신고 하루 한 번 (젖으면 그 이상) 갈아 신는다.(5) 가급적이면 집안에서만이라도 맨발로 지내도록 한다.참조ㅡ 중앙대학교 병원 건강칼럼
Q. 알러지가 있는데 코로나 백신 접종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음식이나 햇빛, 꽃가루.특정약물 등에 알레르기가 있다고 해서 백신 접종을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금기 대상은 백신의 구성 물질에 아나필락시스 같은 중증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이력이 있는 경우, 1차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경우 등 일부에 해당됩니다. 장세척용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쓰이는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소르베이트에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접종 금기 대상에 포함됩니다. 그밖의 특정 알레르기 반응 환자의 경우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백신 접종을 하시고 접종후 충분한 시간동안 관찰 하시고 귀가하시면 됩니다.
Q. 백신을 꼭 맞아야 하나요? 안맞아도 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이나 햇빛, 꽃가루.특정약물 등에 알레르기가 있다고 해서 백신 접종을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금기 대상은 백신의 구성 물질에 아나필락시스 같은 중증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이력이 있는 경우, 1차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경우 등 일부에 해당됩니다. 장세척용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쓰이는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소르베이트에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접종 금기 대상에 포함됩니다. 그밖의 특정 알레르기 반응 환자의 경우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백신 접종을 하면됩니다.코로나 백신의 안정성과 효과가 백프로 확신할수는없으나 코로나 감염으로인한 위험성보다는 백신접종을 하는것이 훨씬 안전할것으로 생각되며 무엇보다 코로나 종식을위해 백신접종이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