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현배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전문가 입니다.
조현배 전문가
이지더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양육·훈육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영유아들이 포동포동 살이 쪄도 상관이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골격이 완성되어 신체를 보호하기 이전 포동포동한 살이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하지만 지나치게 살이찌지 않도록 관리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놀 때 너무 신이나면 오줌을 안누고 샐때까지 참습니다. 오줌 누고 놀면 더 놀 수 있다고 해도 계속 참는데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중간에 챙겨서 볼일 보게 하시고 부모님 권유로 했더라도 꼭 칭찬해주세요화장실 사용과 관련해 좋은기억이 쌓이면 스스로 볼일보는데 도움을 줍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어린이집은 보통 몇개월부터 보내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또래친구들과 놀면서 사회화를 경험하는 만3세 이후가 좋습니다 가능하면 엄마품에서 오래 머무는게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아이 열 날때 선풍기랑 에어컨 중에 어떤데 더 낫나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선풍기나 에어컨, 샤워 등으로 열을 내리는 것은 자칫 과도한 체온변화를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직접 바람을 쐬지 않도록 해주는게 좋으며 땀이 나서 젖은 옷도 바로 갈아입혀주세요.
유아교육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한글 배우는 단계인데 맞춤법 틀리면 바로 알려주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배우는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지적을 하거나 교정하기 보다는 부모님이 바르게 사용하는 것을 들려주며 아이를 꾸준히 격려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틀린 내용을 숙지하고 고치게 됩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공부는 안 하고 스마트폰만 너무 오래 해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미디어기기 사용의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시간의 제한을 두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사용 시간을 제한하시고 학업성취나 학습량에 따라 사용시간에 차등을 두거나 보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공부를 할 때 부모님도 곁을 지켜주며 독서를 하거나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10개월차 아기아빠인데 언제쯤 걸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들마다 걷는 시기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2개월 전후에 걷게 됩니다. 8~10개월 사이 물건을 잡고 이동하는 법을 배우다 우연히 손을 놓고 서게 되고 손놓고 걷기를 시도하며 수없이 넘어지기를 반복하다 걷게됩니다. 이 시기 주변 물건에 부딪힐 수 있어 모서리 부분은 꼭 가드나 스펀지 등을 설치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생후1개월 됀 영아가 넘 심하게 우는데 원인을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아 산통은 생후 2주이후 시작되어 3~4개월 정도면 자연스럽게 좋아집니다.이 시기 배앓이로 인해 자지러지게 우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배앓이를 줄여주는 분유로 교체를 하거나 과식하지 않도록 분유량 조절하고 충분히 트림을 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첫째한테 '야'라고 하는 둘째, 어떻게 훈육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어 구사 능력이 떨어지는 연령대에서 흥분하거나 화가 났을 때 속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소리를 지르거나 야! 하고 말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급적 아이와 자주 소통하고 책읽기 많이 하면서 언어적 표현 능력을 길러주시고 아이들끼리 잘 놀 때에도 부모님이 세심히 관찰하며 과도하게 흥분하지 않도록 중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3일 작성 됨
Q.
2개월차 딸아이를 가진 아빠 입니다 통잠은 언제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흔히들 말하는 백일의 기적이라는 말이 있죠 백일 정도가 되면 경우에 따라 통잠을 자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것들을 포함해 아이 성향이나 기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부모가 노력하지 않아도 통잠을 자는 경우가 있고 어떤 노력에도 통잠을 자는데 오래 걸리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통잠을 자기 앞서 밤중 수유를 끊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생후 3개월 이후 시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