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현배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전문가 입니다.
조현배 전문가
이지더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양육·훈육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음식을 먹기전에 냄새를 맡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새로운 음식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나 안 좋은 기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러 음식을 맛보고 성장하는 것이 좋지만 새로운 음식을 접했을 때 먼저 권하지 마시고 아이가 관심을 갖을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동생을 몰래 괴롭히는 딸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동생의 존재는 부모님의 사랑과 관심을 빼앗은 존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큰아이와 보다 많이 소통하면서 스킨쉽도 많이 해주시고 동생에게 무조건 적인 양보는 하지 않도록 주의 해주시고 어린 자녀를 돌봄에 있어 큰 아이의 허락을 구하거나 너무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도 필요합니다.
놀이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자녀가 친구의 물건을 가져오는 거 같아요.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의심이 되더라도 우선 아이 말을 믿어주시고 친구 및 친구 부모님께 확인해 본 후 친구 물건을 손댄 것이 확인 된다면 그때 훈육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물건을 잃어버렸거나 거절하지 못해 물건을 건넨 친구 마음이 어떨지 함께 이야기 나눠보세요.
양육·훈육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입으로 이상한소리내는 36개월 아기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무료함이나 긴장을 감추기위한 수단으로 보입니다. 평소 아이가 이상한 소리를 내더라도 반응해 주지 않으면서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발음 관련된 문제는 조금 더 성장 후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 7세 이후에도 발음의 문제가 있다면 전문기관에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딸아이가 남자가 되고 싶어해요. 이럴 땐 부모가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 성향에 대한 고민이 있으시겠습니다종종 오빠가 있는 여아들에게서 나타나곤하는데현재 원하는 것들에 대한 공감과 존중을 바탕으로 남자와 여자의 다름에 대해 알려주셔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산만한 아이 습관을 어떻게 잡아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칭찬스티커나 용돈 등의 보상을 활용하거나 선생님 처럼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님의 경우 아이들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껴 더 편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학교생활을 잘 말 안해주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 중에 심리적 성숙도가 빠른 아이들도 있습니다. 부모님과 이른 시기에 마치 사춘기를 겪는 것처럼 거리를 두기도 합니다. 너무 캐묻지 마시고 평범한 일상 대화를 자주 나누시고 부모님의 일상을 공유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한글쓰기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빈 종이에 따라쓰기보다는 학습지나 기타 교재를 활용해 따라쓰는 것을 시작으로 한글을 배울 수 있도록 해주세요. 단순히 따라쓰는 것도 좋지만 글씨모양을 눈에 익히는 것이 시작이므로 소리와 모양을 연결짓거나 알맞은 글씨 찾아보는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는 학습지활용을 추천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기 태열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집안 온습도 관리 철저히 해주시고 자주 환기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수딩젤 발라주시고 종종 물로 씻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5세 아이가 마음대로 안 될 경우 울음으로 표현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위로와 공감을 통해 대화를 시도해 주세요. 평소 아이와 자주 이야기하고 소통하며 말로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시고 우는 상황을 다그치기보다는 생각을 정리 한 후 말해다라고 한 후 기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