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현배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전문가 입니다.
조현배 전문가
이지더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는 100일쯤 왜 아픈가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00일 이전에는 거의 집안에 머물며 생활하지만 해당 시기를 기점으로 점차 바깥활동이 많아지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등에 노출되는 것이 늘어갑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자신을 잘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려면?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규칙이나 약속을 지키고 이에 따른 보상을 통해 절제능력을 길러 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배우는 것이 매우 많은 만큼 평소 부모님이 본을 보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놀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선생님 없을때만 괴롭히는 유치원친구를 어떻게 해야하죠?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선생님이 안계실 때에도 자꾸 따라다니고 귀찮게 굴면 선생님께 말해달라했다고 이야기 하도록 지도해주세요. 아이가 스트레스받는 상황에 대해 선생님께 따로 고지드려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예방접종하려는데고민이되네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두가지 모두 접종 완료 시 효과는 비슷하다고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외출이 자제되던 시기에는 생백신이 선호되기도 했으나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사백신이 좀더 안전하다는 평가가 있으니 참고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들 경제적 관념은 어떻게 키워주시나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마트를 갈 때 미리 리스트를 작성하여 계획적인 소비 패턴을 보여주시고 물건을 살때 정말 필요한 물건이 맞는지 대체 할만한 다른 물건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등 부모님이 본을 보이시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와 더불어 용돈을 주고 용돈기입장 작성케 하시면서 교육해주시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예의를 가르치려는데 어디서부터가 꼰대인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 생각에 이건 선을 넘었다 싶은 내용들은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거와 달리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친구처럼 지내는 가족들도 많고 정해진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상의하여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웃어른을 보면 인사하기, 사람이 많은 곳에서 시끄럽게 굴지 않기 등 타인을 배려하거나 사회 통념 상 당연시 여겨지는 것들을 기초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놀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기가 새로운걸 하는데 어려워하는데 어떻게 하죠?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익숙하지 않은 촉감을 겪으면서 놀란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성장하면서 대부분 좋아져서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가정에서도 쉽게 보거나 접할 수 있는 사물을 이용해 촉감놀이 시켜주시고 부모님이 먼저 시범을 보여 안전함을 보여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기 몇개월부터 외출 가능 한가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00일 정도가 지났다면 가벼운 산책정도는 다닐 수 있습니다. 직사광선을 바로 쬐거나 햇빛을 바라보지 않도록 해주시고 벌레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하셔야 합니다
놀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4세 아이의 균형있는 성장 발달을 위해서는 하루에 몇시간 정도의 야외활동(운동)이 필요할까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적당한 시간이 있다기 보다는 아이의 컨디션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한시간 내외의 야외활동을 통해 저녁시간대 아이가 쳐지거나 짜증을 내는지의 여부를 보시고 가감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사람마다 타고난 체질이나 체력 기타 환경적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 상황을 보고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이가 엄마 아빠를 깨무는 장난을 계속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때로는 단호하고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혼내거나 화내는 것이 아닌 해당 행동에 대해 싫어하는 감정을 들어내거나 거부의사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326
327
328
329
3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