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여성 폐경기가 되면 좋은음식이 뭐가 있고 어떻게관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여성은 40~60세 사이에 폐경을 경험하게 되며, 폐경 전의 변화는 대개 40대 중·후반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데, 이때부터 생리가 완전히 없어지는 폐경 이후 1년 정도까지 평균 4-5년 정도의 기간을 갱년기라고 합니다. 그 기간이나 증상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흔한 증상들로는 안면홍조, 피로감, 불안감, 우울, 기억력장애 등이 동반되며 주로 밤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엔 수면장애를 겪기도 합니다. 폐경기 치료는 식단이나 생화습관 변화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폐경 후 신체내에서 감소하는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을 외부에서 약으로 보충해 주는 것을 폐경기 호르몬 대체요법이라고 합니다. 현재 호르몬 약은 여러종류가 개발되어 있고 투여방법도 다양하기 때문에 환자분 개개인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약을 선택하여 투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안면홍조나 식은땀, 불면증 등 급성 폐경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3-6개월 정도 단기간 투여 후 지속적인 투여여부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급성 폐경기 증상이 없더라도 요실금이나 분비물 감소로 인한 성생활 장애, 골밀도 감소 등이 있는 경우에는 호르몬 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호르몬 대체요법은 생리가 있더라도 폐경기 증상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없어도 폐경 후 곧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효과도 좋습니다. 현재 폐경기가 우려되신다면 산부인과를 내원하셔서 보다 정밀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콧물이 계속 나와서 멈추지 않을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비염으로 인한 코막힘, 콧물은 약물치료 및 부비강 세척 등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비염의 종류로는 알레르기성 비염과 위축성 비염 및 부비동염 등이 있는데 비염의 원인과 종류 그리고 환자분의 진행된 단계 등에 따라 치료법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만약 만성적으로 비염이 있다면 비중격만곡증, 비갑개비대증 등 비강내 구조물이 기능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경우를 확인해야 하고, 약물치료로 반응 없을 수 있으므로 구조적인 문제를 수술과 같은 방법으로 개선해 줘야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