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밤에 깊은수면을 못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잠들기 1~2시간 전에 이완요법으로 긴장도를 낮추어야 하며, 스트레칭이나 명상, 반신욕 or 족욕 등으로 불안증의 원인인 교감신경계의 긴장도를 낮추어 주어야 일단 잠들 수 있고, 잠든 후에도 양질의 잠을 잘 수 있으실 겁니다. 만일 증상이 지속 되어 혼자 힘으로도 해결하기 힘드시다면 전문 수면 클리닉 등을 방문하셔서 수면 전문의와 상담하시고, 인지행동 치료 등을 통하여 치료 하시면 됩니다. 아래 제시된 수면위생을 잘 지키시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1. 밤마다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정해진 시간에 일어난다.2. 낮 시간에 운동(햇빛이 비치는 시간대,오전10시 이후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을 규칙적으로 한다. 낮잠은 자지 않는다. 낮잠을 자게 되면 야간에 잠들게 되는 경향은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3. 취침 직전에는 너무 격렬한 운동을 피한다. 운동 자체가 자극이 되어 잠들기 힘들어 진다.4. 커피나 홍차, 녹차, 핫초코, 콜라 등 같은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피한다.5. 저녁에 과식을 하지 않는다. 과식 자체가 자극이 되어 잠들기 힘들어진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따뜻한 우유 한잔 혹은 치즈 등을 소량 먹는 것은 도움이 된다.
Q. 인대가 찢어졌는데 회복 방법?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급성 인대 파열 후 적절한 비수술적 치료로 약 80% 이상에서 이전 상태로 회복이 가능합니다. 수술이 필수이지는 않습니다. 부목 고정을 하면, 관절 운동을 하지 못하므로, 회복 속도가 느리게 된느 경우가 있습니다. 보조기를 착용하면, 좌우로 발목을 삐는 힘에 대해서는 안전하게 되고, 발목을 위아래로 움직일 수는 있어서 발목 각도록 유지 하게 해줍니다. 그리고, 탈착이 가능함으로 씻을 수도 있구요. 보조기 착용 후 시점부터는 주변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등에서 물리치료를 시행하셔도 좋습니다.
Q. 담 걸린 어깨가 며칠동안 지나도 낫지 않네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목에 담이 걸린 증상은 목 뒤쪽이나 등, 어깨 근육이 딱딱하게 뭉쳐서 통증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아픈 부위를 누르거나 움직였을 때, 뻐근한 통증이 느껴집니다.증상이 가볍다면, 휴식과 마사지 또는 온열치료를 진행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진통제를 복용하셔도 되고요. 또, 뭉친 어깨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서 스트레칭도 도움이 되십니다.스트레칭 방법은1. 손을 등 뒤로 뻗어 깍지 낀 뒤, 쭉 뻗어 등 근육이 가운데로 모이게 한다.2. 오른손을 위로, 왼손을 아래로 내려 팔을 크게 움직이고, 반대쪽도 똑같이 운동한다.3. 양손을 어깨에 올리고 천천히 크게 앞, 뒤로 돌린다.4. 오른팔을 목 뒤로 넘겨 왼쪽 어깨에 닿게 한다. 반대쪽과 번갈아 한다.
Q. 딱히 다친적도 없는것 같은데 특정 발가락 아래가 아파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우선, 발가락에서 관절, 인대, 근육이 있습니다. 이들 관절이나 근육, 인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발가락에 있는 근육이 뭉쳤을 경우에도 말씀하신 통증이 있고, 걸을 때 아플 수 있습니다. 또, 발가락에 있는 관절에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대개 만져보면 통증이 있는 부위가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위/아래로도 눌러보고, 좌/우를 함께 눌러도 보아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도 발가락에 가는 신경이 있는데, 이 신경에 이상이 있거나 일부 발가락에만 가는 신경이 눌린 경우 찌릿찌릿하거나 전기가 통하는 느낌이 있고, 쥐가 나는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부에서는 발가락의 감각 저하가 동반되므로 이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 외에도 혈관의 이상이나 혈관장애가 있어서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질환이 있을 때에도 발가락이 저리거나 찌릿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발가락이 추운 곳에서 색깔이 변하지는 않는지 추운 곳에서 더 아픈 것은 아닌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