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최정수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약·영양제
이비인후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코로나19 재감염 시에 치료는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었으면 일정기간 항체가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감염확률이 적습니다. 하지만 90일정도 지나게 되면 재감염 확률이 높아져서 추가로 백신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재감염이 된다고 더 심하게 증상이 오는 것은 아니고 그때 상황에 따라 여러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기본적인 치료 원칙은 처음 감염시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유리 잼병에 발톱 찍힘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골절이 있으면 통증이 가라앉지 않고 부어올랐을 것 같습니다. 증상이 호전이 있다는 것은 골절이 의심되는 상황은 아니며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는 X-ray 검사를 해봐야합니다. 다만 x-ray 에서 미세골절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CT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상황으로 봐서 크게 걱정할 정도의 부상은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피부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주사기 여러곳 사용 문제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고생하셨습니다. 사람마다 혈관의 크기가 다르고 위치도 달라서 아무리 숙련된 의료진이어도 가끔 이런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은 한번 찌른 바늘은 폐기하고 새로운 바늘을 사용해야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물론 재사용했다고 해서 무조건 감염이 생기는 것은 아니나 주의할 필요는 있습니다. 이미 꺼내서 몸에 들어갔다 나온 바늘은 그 자체로 오염이 된 바늘이어서 주의해야하나 한명에게 쓴 바늘은 가끔 다시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음번에 이런 상황에서는 새로운 바늘로 사용해달라고 하시는게 좋고 일반적으로는 새로운 바늘을 사용하기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오른쪽 옆구리중간~등쪽부분 경련발생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말씀하신 증상과 우측 폐의 문제와 연결짓기는 다소 무리가 있어보이긴 합니다. 단순 근육 경련처럼 보이는데 이는 신경쪽 문제와 연결짓는게 더 맞을 것 같습니다. 연세가 있으시다보니 컨디션 저하로 인해서 특정 부위에 근육 경련이 있을 수 있고 자세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 근육경련으로 여러 검사를 해볼 필요는 없지만 허리쪽에서 나오는 신경쪽 검사는 받아볼 필요는 있겠습니다. 아니면 통증의학과에서 가셔서 늑간신경쪽에 주사를 맞아보시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내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당뇨 환자의 기준이 당화혈색소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당화혈색소는 우리 몸의 3개월 평균 당 수치를 보는 검사로 보시면 되고 6.1 이면 정상보다 높고 당뇨로 진단하기엔 살짝 낮은 수치여서 당뇨전단계로 봐야합니다. 공복혈당도 측정을 해봐야하는데 대체로 130 이상이면 당뇨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또한 당뇨라는게 당이 우리몸에서 흡수가 안되고 소변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소변검사에서 당이 측정되고 소변 볼시 거품뇨가 생기고 냄새가 나면 당뇨의심을 해봐야합니다. 현재로서는 식습관 조절, 운동이 가장 중요하고 좀 더 공격적으로 처치하자 하면 당뇨약을 복용하셔서 당수치를 낮추는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의료진과 상의해서 결정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침마다 어지럽고 속이 메스꺼운건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혹시 불규칙적인 식습관 혹은 야식을 즐겨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아침에 일어나서 더부룩하고 어지럽고 멀미한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역류성 식도염때문에 그럴 수도 있습니다. 혹은 과한 스트레스로 인해서 혈액순환이 잘 안되면 머리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면서 어지럽고 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기립성 저혈압이 있을 수 있고 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고 전체적인 컨디션이 떨어졌을 때 이럴 수 있습니다. 식사를 규칙적으로 해보시고 밤 8시 이후로는 간식같은 것을 안드시는게 좋고 수분 섭취를 많이 하시는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유리에 찔렸다 아물었데도 아프대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작은 유리조각은 X-ray 검사에서도 안나옵니다. 증상만으로 의심을 해야되는데 아주 작은 미세 입자 같은게 작은 피부에 박혀있을 경우 그런 증상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필요하면 MRI 같은 걸 해봐야하는데..증상을 보고 의료진과 판단해서 검사를 진행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박힌게 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가만히 있어도 멀미증상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어지러운 증상은 심장, 머리, 귀 문제로 볼 수 있는데 가만히 있어도 어지러운 것이라면 뇌혈관 문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 증상이 함께 있어서 한번에 검사를 받아보시려면 2차병원 이상급에서 여러 과 진료를 보시는게 좋겠고 내과, 이비인후과, 신경과 혹은 신경외과 쪽 진료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과
2022년 6월 10일 작성 됨
Q.
심장 두근 거림, 답답하고, 통증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아마 부정맥과 함께 두근거림으로 인해서 가슴쪽 통증이 있다고 느끼시는 것 같습니다. 가슴통증이 심하셨으면 아마도 개인병원이나 응급실에 가셨을 것 같은데 그게 아니라면 부정맥때문에 그럴 것 같고, 꼭 부정맥이 있다고 해서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심혈관 관련해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내과에서도 심장내과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약 복용
2022년 6월 8일 작성 됨
Q.
증상이없어도 언제까지 약을 복용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아스피린은 예방적으로 복용하실 때 출혈이나 위장관계 부작용이 없으시면 꾸준히 드셔도 되는 약입니다. 만약 끊고 싶다면 고지혈증에 대해서 식단이랑 운동을 약 효과만큼 집중해서 하셔야 합니다. 생각보다 약의 효과만큼 운동이나 식단으로 유지하는게 힘들어서 대부분 약의 힘을 빌리게 됩니다. 결론은 끊으실 수 있고 그만큼 운동이나 식단에 신경을 쓰시면 되며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잘 확인하시면 됩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