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축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전문가입니다.
차재우 전문가
관우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역사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온돌의 역사는 어디서부터 찾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온돌문화는 고구려 문화에서 볼수 있었고 당시 요동지방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난방형태였다고보시면 됩니다.
역사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가 일본을 식민지로 지배했을수는 없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반도는 분열되어 있을때도 있었고 통일된 시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국력이일본을 정복 할 정도는 된 적이 없었습니다. 격퇴는 시킬수는 있어도 완전한 정복은 힘들었지요세종조때 대마도 점령을 고려하여 성균관에서 분석을 했는데 점령하였을때 드는비용과 희생이 너무 커서 실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동북아 정세에 흔들리지 않으려면 힘을 키워야 합니다.
역사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중국통일한 수나라는 왜 고구려에 졌을까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그당시 동아시아 최고의 군대는 수나라 군대였습니다. 하지만 고구려의 철기군도 만만치는 않았지요물론 수적으로 열세였습니다. 하지만 수나라는 원정군이고 그렇게 많은 군대가 공격을 하려면 보급에 더 신경을 썼어야 했습니다. 그것을노려 고구려는 청야전술(모든것을 없앰)으로 적의 보급로를 끊고 사기를 꺽는데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고구려에는 을지문덕이라는 명장이 있었습니다. 수비의 이점을 적극 활용하여고 전략 전술의 승리였다고 생각합니다.
역사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은 일본에게 병합되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미 조선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면서 그 역사가 다 되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고종이 마지막까지 노력하여 러시아세력을 끌어 들였으나 예상치도 못하게 일본이 러시아를 격파하고 러시아는 조선의 문제에 손을 떼게 됩니다. 일본은 다만 서양 및 제국주의 세력의 눈치를 본 것이며 각종 조약을 통해 안전하게 조선을 잡음 없이 병합할 시간이 필요했을 뿐입니다.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조선이 원해서 어쩔수 없이 우리가 합병을 허락한다는 모양새로 치밀하게 합병을 실시합니다. 다시는 격지 말아야할 일입니다. 그래서 힘이 있어야 합니다.
역사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동북면의 실력자 이성계에서 동북면은 어디 인가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지금 북한의 함흥 및 함경도 일대 쯤 될 것 같습니다. 당시 이성계는 원나라군, 홍건적과 전투를치뤘고 상당한 전과를 올렸습니다. 또한 고려에 쳐들어온 왜구를 소탕하여 전국적 영웅이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최근 금값이 많이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금융권 및 경제가 불안정하다는 것이지요. 안전자산인 금을 보유하여 위기상황에 대처하려는것입니다. 금융위기 마다 금값은 상승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주식용어 골든크로스의 뜻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식시장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정치·경제·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추세가 반등하거나 역전될 경우, 긍정적 수치가 부정적 수치를 앞서는 경우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선거 등 정치 관련 여론조사에서 정치인 또는 정당 등의 지지율 역전이 발생할 때, 경제성장률이나 인구 등의 수치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돌아설 경우에도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골든크로스와 반대되는 상황을 일컫는 용어는 데드크로스(Dead Cross)입니다.
대출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미국은 왜 계속 금리인상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위기를 버티기 위해 미국은 돈을 많이 찍어냅니다. 양적완화를 한 것이지요. 재작년 작년세계적으로 부동산이 상승했지요. 그것도 이러한 양적완화 시중에 돈이 넘쳐 났던 것입니다. 하지만 양적완화는 한가지 문제를 가지고있는데 유동성이 풍부하면 물가가 높아집니다. 결국 악순환이 되어서 경제위기로 가고 파산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 연준은 금리를인상하여 물가 상승을 통제하려고 했던 것 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예상했던 만큼의 금리인상을 하였는데 시장이 하락전환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연준 파월의 연내 금리인하 없다는 발언과 앨런의 모든 은행의 예금을 보장해 주지는 않겠다라는발언 때문에 흔들리는 것 같습니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기 마련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미국 연준이 0.25% 금리인상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도 중요하지만 경제위기를 고려한 것입니다. 더이상 올리는 것은 위험하다는 인식을공유했을 것입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