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축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전문가입니다.
차재우 전문가
관우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기업의 투자를 많이 하면 주가에 긍정적으로 상승 하는데 이유가 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당연한 원리입니다. 기업이 수익으로 설비를 늘리고 연구개발을 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사인입니다.그만큼 수요가 있고 설비만 늘리면 더 많은 돈을 벌수 있고 연구개발을 통해 미래 시장도 개척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개발하는 것입니다.이는 중요한 것이고 주식시장에서 긍정적인 요소가 충분히 될 수 있습니다. 주식은 정말 빠르게 미래 이익이 반영되고 빠집니다. 이러한부분은 호재로 작용해서 주식의 가치에 선 반영되는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미국 연준의 힘은 이제 떨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연준의 힘은 이런일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언제나 미국시장에 기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미래에도상당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미 연준 베이비스텝 금리인상.. 한국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영향은 당연히 있습니다. 외국자본은 1원이라도 이익이 더 되는 쪽으로 갈수 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미국시장은 안전시장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안전하고 수익률도 높다면 돈을 그쪽으로 투입하겠지요. 하지만 우리가 반도체, 전기배터리 등에서 우월한 실적을 보여 준다면 돈은 쉽게 빠져 나가지 않겠지요. 그래서 기업 실적이 중요한 것이고 우리가 더 많은 수익을 줄 수 있다면그대로 투자가 유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업의 건전성, 사업의 성과 등이 중요한 겁니다. 전 지속적인 투자 및 기술개발만이 우리나라 경제가 살 수 있는 길이라고 봅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일자를 지켜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저도 청약종합저축 들어 봤지만 돈을 납입하지 않아도 자격유지는 됩니다. 기간이 지나서혹은 먼저 선납 및 후납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몇번 은행에 가서 부족한 돈을 채우고 청약신청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대출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일본 금리 마이너스 0.1% 의미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은행에 돈을 넣어 놓으면 오해려 대출처럼 이자를 은행에 주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본은 잃어버린30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80년대 일본의 기업들이 버블붕괴로 많이 파산하여 실업자들도 많이 생겼는데요 일본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일반서민들의소득의 증대는 크게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본은 부자인데 일본 서민들의 삶은 그대로라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금리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몬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준금리 보다는 시장금리라고 해서 채권 등에 연관된 금리를 기준으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책정된 금리에 은행들이 1~2%의 마진을 남겨서 일반 고객들에게 대출상품을 판매합니다. 그래서 기준금리와 일부 다르게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떨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은 전문가분들의 의견도 그렇고요. 제도 궁금한것은 그게 어느 시점부터냐라는 것이참 저도 궁금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세계에서 어느정도 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경제 비율은 한 2퍼센트 정도 됩니다. 그리고 전세계 12위입니다. 하지만 지금 반도체 등의 수출이 잘 안되서 그런 것이고 수출이 좋을 때는 세계 9위권 까지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제 생각에는 자원 확보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기술력은 있지만 자원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아프리카나 남미 국가를과의 협력을통해 자원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2023년 최근 경제 이슈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현재 경제 이슈는 아무래도 물가이겠지요. 물가가 제가 생각해도 너무 많이 오릅니다. 이것을 잡아야하는데 금리만으로 통제가 한계치에 온것 같습니다. 금리를 계속 올리면 아마 금융위기가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지금의 경제이슈는 연준이 금리를 언제까지 올릴 것이냐 하는 것이고 물가가 언제 떨어지느냐가 초미의 관심사 일 것이고 우리나라 주식, 부동산이 언제 반등 할 것이냐가 국내적인 관심사항 일 것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세계경제에 대해서 큰그림을 보려면 어떤 정보를 모니터링 해야 될까요? 신문이나 잡지? 매일 어떤 정보를 봐야 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저는 매일 ET라는 KBS방송을 모니터링 합니다. 경제관련 뉴스를 종합하여 해주는 프로그램인데현재 전문가들이 나와서 금융시장, 부동산시장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브리핑 해 줍니다. 현재 내 스탠스를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대출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미국의 큰은행들이 파산하는데, 국내 은행들은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그렇게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도 최근에 안 사실이지만 현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 금융위기에적절히 잘 대처하신 분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을 따라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지 않고 적절한 타이밍을 보이는 것이구요. 그리고미국도 현 상황을 그대로 지켜 보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리먼브라더스 금융위기를 격었고 그래서 코로나 시대에도 양적완화로 적절하게대응하여 위기를 넘긴 것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