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달 탐사나 화성 이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실제로 가능한가요??
달 탐사와 화성 이주는 더이상 공학적인 현상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과학적 도전중입니다. 매우 현실적으로 달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나사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가 그 예이며 2026년경 유인 달 착륙을 목표로 달 남극에 장기 기지를 건설하려고 하고 있지요. 달은 지구에서 가깝기에 통신이나 물자 공급등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됩니다. 현재의 기술로는 단기적인 탐사는 가능한 화성은 장기적으로는 아직 시기상조이기도 하지요. 일론머스크는 유인탐사선을 2030년까지 보내려고 하지만 현실적인 이주는 더 시간이 지나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인간은 생존하기 위해선 공기나 물, 식량, 기온, 방사선 차단, 중력, 에너지 공급 등이 원활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힘든것이지요. 달/화성 토양에서 산소를 추출하는 연구를 통하여 산소 및 대기를 조성하려고 하며 물과 같은 자원을 달의 남극등에서 얼음을 녹여 사용하며 식량을 직접 재배하면서 먹고 살고자 하며 주거지 등은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려고 하고 있지요.
Q. 이 우주는 오직 태양만이 빛을 발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외 다른 행성들도 빛을 발하는 별이 있을까요?
우주엔 실제로는 수천억개의 별들이 곳곳에서 빛을 내고 있지요~ 태양은 우리가 사는 태양계의 중심에 있는 항성으로서 스스로 핵융합 반응을 통해 빛과 열을 방출하고 태양뿐만 아니라 밤하늘에 보이는 수 많은 별들 또한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고 있지요~ 우리 눈에는 별빛으로 반짝이는 것들이 실제로는 태양보다 훨씬 멀리 존재하게 되는 항성들이지요.행성들은 스스로 빛을 내진 않지만 항성의 빛을 반사하며 빛나보이게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밤하늘에 보이는 밝은 별같은 점들 중 일부는 사실 별이 아니라 행성인 것이지요. 별들이 빛을 내는 원리는 핵융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수소 원자들이 헬륨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 에너지가 빛과 열로 방출되며 주변을 비춰주게 되는 것이지요. 이렇나 핵융합 반응은 중력이 매우 강한 중심부에서 일어나기에 매우 큰 질량과 밀도를 가진 항성에서만 가능하게 된답니다. 우주에 존재하는 다양한 별들은 크기, 온도, 색깔, 밝기에 따라서 O형,B형,A형,G형,K형,M형으로 나뉘게 되며 온도가 뜨거운 것부터 차가운 형식으로 나타낸 것ㅇ비니다. 별이 스스로 내는 빛은 지구에서 수백~수천광년 떨어진곳에 있음에도 보일만큼 강력하지만 매우 멀리 있끼에 작은 점처럼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