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개월 전 작성 됨
Q.
저질량 항성인 적색왜성의 진화단계에서 최후단계는 어찌되나요?
항성의 진화에 있어 질량은 핵심요소이며 태양보다 훨씬 가벼운 적색왜성의 경우 가장 흔하면서 특이한 진화경로를 가진 항성이지요. 적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0.08~0.5배에 달하며 표면온도가 약 2,500K~3,500K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분광형이M형이며 가장 느리고 오래 타오르는 항성이지요. 이는 핵융합 속도가 느려 작은 엔진이 오랫동안 지속되는거싱며 주계열성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적색거성으로 진화하지 않고 백색왜성과 청색왜성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보름달을 볼수 있는 횟수는 1년에 몇 번이 되며,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1년에 12번의 보름달을 볼수 있는데 이는 달의 공전주기가 약 29.5일에 따라 한번씩 보름달이 뜨기 때문입니다. 이는 1년 465일로 나누어보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개월 전 작성 됨
Q.
달은 지구에서 떨어져 나가서 생긴건가요?
지금까지 이야기하는 여러 가설들중에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달의 탄생 이야기는 거대 충돌설로서 말씀하신 질문대로 떨어져 나간것처럼 생겼다고 보고 있지요. 하지만 지구에서 그냥 떨어져 나간것이 아니라 지구에 부딪힌 테이아라는 원시 행성에 의해 충돌이 발생하였고 이중 일부가 우주로 튕겨나갔따고 보느 것입니다.지구와 달의 구성성분이 매우 유사하고 달에 철이 거의 없고 지구에만 있으며 달의 궤도 위치와 크기가 충돌시뮬레이션 결과 부합하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이 가설을 지지하고 있지요.달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궤도에 묶여있고 이에 따라 공전속도도 갖고 있어 계속 회전하게 되는것입니다. 지구와 달은 조석 상호작용으로 한면만 지구를 향하고 점점 멀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개월 전 작성 됨
Q.
대한민국의 기후가 이상하게 변해가고 있는 것 같은데 올해 5월의 날씨가 기존 패턴과 같나요?
올해 5월의 경우 아침과 저녁의 기온이 평년보다 낮고 낮동안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큰 일교차는 건조한 대기 상태와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서 복사 냉각 현상으로 인해 밤에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낮에는 햇볕으로 기온이 급상승하는 패턴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죠. 최근들어 소나기ㅗㄷ 자주발생하는데 이는 대기의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그러며 지표면의 가열로 상승한 공기가 상층의 찬공기와 만나며 강한 대류로 인해 국지적인 강수를 유발하게 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것들은 북쪽에서 내려오는 찬공기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뜻한공기가 번갈아가며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개월 전 작성 됨
Q.
지구의 자전은 어떻게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건가요?
지구는 태양계가 형성될때부터 이미 회전하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죠. 46억년 전 성운이 중력으로 수축하며 회전 운동을 시작하였고 각운동량법칙에 의해 행성과 위성들의 회전운동이 지속되었죠. 이후 관성의 법칙에 의해 뉴턴의 제1운동 법칙(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정지해 있떤 물체는 계속 정지하고 움직이던 물체는 계속 움직인다)으로 지구는 완전한 진공상태의 우주공간에 있기에 마찰력도, 공기저항도 없기에 자전에 의해서 에너지가 빼앗기지 않고 일정하게 지속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자전은 일정하지 않고 천천히 느려지고 있는데 이는 달의 중력에 의한 조석 마찰력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바닷물이 밀려 올라가면 달의 인력이 바닷물을 끌어당기며 마찰을 생기게 하고 마찰력이 지구의 자전속도를 아주 미세하게 감속시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대략적으로 1세기당 1.7밀리초의 느림이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