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3개월 전 작성 됨
Q.
우주가 팽창해서 공간이 늘어난다는 개념을 어떻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우주의 팽창은 풍선을 통하여 비유하는 것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지요! 풍선 표면에 여러 점들이 찍어져있고 이들을 불게 되면서 점들이 멀어지는 것이 우주의 모습입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각 점 자체가 커지거나 이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풍선의 표면자체가 늘어나면서 각 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 방법은 2차원적이지만, 실제 우주에선 3차원적이기에 오차가 있긴 합니다~ 또한 빵 반죽 속의 건포도도 이러한 예입니다! 우주 자체를 빵 반죽으로 생각하고 건포도가 은하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빵을 만들며 반죽을 오븐에 넣으면 구워지게 되고 팽창하면서 커지는 빵을 가지고 비유하기도 한답니다! 팽창하는 공간에서의 빛은 허블이 발견하였으며 먼 은하에서 오는 빛이 적색편이를 보이는 현상으로 인하여 우리는 우주가 커지고 있따는 것으로 알게 되었답니다! 공간이 늘어난다는 것은 기존 공간의 크기나 구조가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공간이 기존의 공간에 더해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3개월 전 작성 됨
Q.
무지개는 왜 항상 반원 형태로만 보이는건가요?
무지개는 햇빛이 물방울로 들어가면서 굴절되고 반사되며 발생하게 되는데 빛이 물방울에서 나오며 관찰자의 눈에 들어오는 각이 42도가 됩니다. 이 각도에 해당하는 물방울들이 무지개를 만들어내게 되며 지면이 가려져 있기에 반원의 형태로 보이게 되는 것 이지요. 완전한 원의 형태를 보고싶다면 비행기로 하늘을 보면 된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3개월 전 작성 됨
Q.
비행기가 하늘을 날 때 지나간 자리에 구름같이 생긴 흔적은 왜 생기나요?
주요한 원인은 비행기의 엔진에서 나오는 수증기 때문입니다.비행기는 연료를 태워 추진력을 만들어 내게 되는데, 연소되며 이산화탄소가 수증기와 함께 배출이 됩니다. 비행기가 나는 8-12 km 정도의 상공은 매우 차갑기에 이 수증기가 갑자기 식으며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되게 되는 것 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5년 5월 13일 작성 됨
Q.
지구가 세차운동을 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지는 건가요?
세차운동을 하게 된다면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답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이 달라지게 되며 북극성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겠지용 지금 현재의 북극성은 폴라리스이지만, 12000년 후엔 베가가 북극성이 되게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5년 5월 12일 작성 됨
Q.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를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마리아나해구는 가장 깊은 해양지형으로서 11,034M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평양의 마리아나 제도에 있으며1875년 영국의 해양 탐사선인 HMS챌린저가 음향 탐지기가 이를 측정하였습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