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공간은 양쪽으로 이동할수 있지만 시간은 한쪽으로만 동하나요? 아니면 과거로 이동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생일 같이 일년에 한번 있는 날은 계속 평생동안 오잖아요? 반복되잖아요.
공간은 우리가 자유롭게 앞뒤, 좌우로 이동할수 있지만 시간은 항상 미래로만 흐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열역학 2법칙과 관련이 있는데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한는 방향으로 진행되기에 비가역적 과정으로 우리가 시간을 뒤로 되될릴수는 없게 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지요! 생일이 매년 오니까 시간이 반복되는것은 생일이나 계절은 반복되지만 그때의 나는 다른 존재이며 생일이 반복된다해서 우리가 과거의 생일을 다시 경험하는 것은 아닙니다. 달력상의 날짜는 반복될수 있지만 항상 새로운 순간으 ㄹ경험하고 엔트로피를 증가시키게 되기에 시간 자체가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시간을 특정한 방식으로 기록하게 되는것이지요! 공간은 앞뒤 좌우지만 시간은 한방향으로 흐르는것처럼 보이게 되지만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는 공간과 시간이 묶여 시공간으로 존재하게 하며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이 더 느리게 흐르는 등의 시간 변형도 할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시간 여행은 어디까지나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지만 현실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조약에는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나요?
우주의 평화적 이용과 국제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조약인 우주조약은 1967년 10월 10일 발효되었으며 17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주는 모든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되어야하며, 모든 국가가 자유롭게 탐사 및 이용할수 있으며 특정 국가가 독점할수 없고, 우주 활동은 국제법을 준수하고 인류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여야 하며, 어떠하 ㄴ국가도 달, 행성, 우주 공간 등 우주의 어떤 부분도 영토로 소유할수 없다고 합니다. 또한 우주공간에 핵무기 및 대량 살살무기를 배치할수 없으며 달 및 기타 천체에 평화적인 목적으로만 사용할수 잇는 기지 등을 건설하며 , 군사기지는 설치 할수 없다고 합니다. 우주 활동을 수행하는 국가는 그 활동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우주인은 인류의 사절로 간주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모든 국가가 구조하며 한 국가의 우주선이 다른 국가의 영토나 바다에 착륙시 해다 국가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구조하여야 한다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주 조약에 가입한 국가는 114개국입니다! 하지만 현대의 우주 자원 채굴문제나, 군사적 목적의 우주 개발이 증가되거나 우주 쓰레기 문제, 달과 화성 거주권의 문제 등은 한계점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