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하늘에서 보는 무지개는 왜 동그란가요??
무지개는 대기중의 물방울에서 빛이굴절하고 반사되면서 형성되게 되며 햇빛이 공기중의 물방울에 들어가면서 굴절되며 빛은 서로 다른 색깔로 분리되는데 이현상을 분산이라고 하지요. 빨강, 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색의 스펙트럼이 나타나게 됩니다. 빛이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대부분의 빛은 물방울 안에서 한 번 반사되지만 일부 빛은 두 번 반사될수도 있게 됩니다. 빛이 물방울을 빠져나올때 다시 한 번 굴절되며 이 과정에서 다시 색이 분리되게 되는것이지요! 물방울 하나하나가 일정한 각도에서 빛을 굴절시키기에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색상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형성하고 햇빛은 특정 각도에서 물방울이 빠져나오게 되면서 무지개의 색은 모두 같은 각도로 배열되는것이지요! 무지개는 지평선 위로 형성되기에 반원모양으로 보이지만 하늘 전체에 무지개가 보인다면 완전한 원 모양이 형성되게 되느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 있는 은하는 어떻게 생긴 걸까요?
우주에 있는 은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길르 가지며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나선은하입니다. 나선은하는 중심에 둥근 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주위로 나선 모양의 팔들이 펼쳐져 있는 형태이며 이 팔들에 별, 가스, 먼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은하의 중심에서부터 점차적으로 밖으로 뻗어 나가게 되는것이지요. 나선은하는 원반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별들이 원반의 평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나선 모양은 은하 내의 별들이 중력에 의해 형성된 별의 밀도 파동때문에 생긴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둘째 타원은하입니다. 타원은하는 구형이나 타원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별들이 은하 중심을 중심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무작위로 배치되어있으며 별들의 밀도가 높고 중심에 가까운 부분이 더 빽뺵하게 별들을 가지게 하는것이지요. 타원은하는 대부분 별의 ㅎ여성이 오래된 은하로 별 생성 활동이 거의 종료된 상태입니다. 셋째 불규칙 은하입니다. 불규칙 은하는 나선 은하나 타원 은하처럼 명확한 형태가 없이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은하는 종종 별 형성 활동이 활발하거나 은하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불규칙적인 구조를 띄게 됩니다. 불규칙은하는 은하 간의 충돌이나 끌어당기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거나 원래 형태가 없이 별들이 분포하게 되는것이지요! 전체적으로 은하는 처음엔 거대한 가스 구름에서 형성되며 이 구름은 중력에 의해 수축하며 별들을 형성하고 이 별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은하 구조가 형성되게 되는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