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구름이 많이 끼는 날에 습도는 평균적으로 어떻게 될까요?
구름이 많은 날은 평균적으로 습도가 70%이상으로 굉장히 높습니다. 구름은 수증기 덩어리가 아니라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생기게 되는 작은 ㅇ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의 모임이기에 공기중에 충분한 양의 수증기가 있고 공기가 냉각되며 응결조건을 갖춰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은 평균적으로 70~90%정도의 습도를 저층에서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Q.  천문 우주관측에서 발머브레이크와 라이먼 브레이크의 차이라면?
발머 브레이커와 리먼 브레이크는 별의 물리적 특성이나 은하의 거리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며 둘다 수소원자의 전자 에너지 전이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연속 스펙트럼에서 급격하게 밝기가 떨어지는 지점에 단절이 생긴다는 의미이며 발머브레이크는 364.6nm 근처에 위치하며 가시광선 영역 근처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자가 n=2상태에서 이온화 하면서 생기게 되는 흡수이며 수소 원자의 발머계열에 전이를 일으키게 합니다. 항성의 스펙트럼, A형 별에서 나타나며 성숙한 별 무리 근처에 근적외선으로 관측됩니다. 따라서 타원은하처럼 오래된 별이 많은 은하에서 강한 발머 브레이크가 보이게 됩니다. 리만 브레이크는 91.2nm로 자외선 영역에 위치하고 전자가 n=1 상태에서 이온화 하면서 흡수선이 발생하게 됩니다. 수소 원자의 라이먼 계열 전이가 발생하며 고적색편이 은하, 초기 우주 은하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자외선 광자가 수소에 흡수되어 급격하게 밝기가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게 되며 이들은 대부분 z=2~7 이상인 초기 우주 은하들이 관측되고 있스빈다. 즉 고적색편이 은하들이라는 뜻이지요. 다양한 파장대에서 은하를 관측하고 특정 파장에서 갑자기 광도가뚝 떨어지게 되면 그 브레이크가 적색편이 z에 의해 이동된것으로 계산하여 거리를 추정하게 된답니다!
Q.  지구의 지하는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지구는 크게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각은 0~70km로 고체상태이며 규소,알루미늄, 산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맨틀은 70~2900km로 고체이며 유동성을 가지고 잇는 지역이 있지요. 철과 마그네슘, 규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핵은 2,900~5,100km로 액체로 구성되어있으며 철과 니켈로 되어있으며 내핵은 5,100~6,400km로 고체상태이며 외핵과 같이 철과 니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곳은 전체 질량의 약 35%인 철이며, 그다음은 산소, 규소 순입니다. 산소는 지각에 가장 많으며 규소는 암석의 성분, 지각/맨틀의 주 재료입니다.
Q.  지구에서 탐사한 행성들은 어디가 있나요?
우주 탐사는 달과 화성만의 이야기가 아니며 태양계의 모든 행성에 로봇이나 위성 궤도선 등을 보냈습니다. 가장 가까운 달은 아폴로 시리즈, 루나, 창어 등을 통해 착륙과 유인탐사를 하였으며, 화성의 경우 바이킨, 패스파인더, 큐리오시티, 퍼서비어런스 등이 착륙하고 주행하며 샘플을 채취하였답니다. 수성의 경우 메신저, 베샷을 보내 궤도를 탐사하였고, 금성은 베네라, 마젤란, 아카츠키 등이 대기에 진입하여 레이더 관측을 하였습니다.목성은 갈릴레오, 주노, 파이오니어 등에 의해서 궤도 진입과 대기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토성은 카시니, 파이오니어를 통해 궤도 탐사와 위성 타이탄 착륙이 이루어졌지요. 천왕성은 보이저2호가, 해왕성 또한 보이저2호가 플라이바이 근접통과를 통해 탐사하였습니다. 또한 보이저1호와 2호는 태양계를 넘어간 최초의 탐사선이며 화성 외에도 주목하면서 탐사하는 곳은 타이탄(토성의 위성), 유로파(목성의 위성), 에로스, 베누, 리유구 등으 ㅣ소행성들을 열심히 탐사하고 있습니다!
Q.  5월인데 날씨가 추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5월인데 날이 추운 이유는 북서ㅉ꼬에서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시베리아쪽에서 찬 대륙성 고기압이 남하하며 한반도에 차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일시적으로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낮에 따뜻해도 밤에 복사냉각으로 체감 기온이 뚝 떨어지게 됩니다. 이른 새벽이나 밤 시간의 복사냉각현상때문인데 구름이 없고 하늘이 맑으면 지표의 열기가 밤새 우주로 빠르게 빠져나가며 지면과 공기가 급격하게 냉각되고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크게 벌어지게 되는거시지요.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기온이 들쭉날쭉해지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땁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