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지구에 물이 생기게 된 원리가 있을까요?
지그에 물이 생기게 된 원리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 가장 그럴듯하게 이야기해주며 실제 학교에서도 배우게 되는 내용은 초기지구가 충돌에 의해 굉장히 뜨거운 마그마의 바다 상태가 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이 뜨거운 열기에 의해 대기중에 수증기가 많이 생기며 구름을 형성하며 오랜기간동안 비가 내렸고, 이 비에 의해 지금의 지형과 함께 바다가 생겼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지진은 과학적으로 예측이 왜 불가능 한걸까요?
태풍이나 비와같은 자연재해는 어쨌뜬 레이더상에 정확하게 잡히기도 하고, 하늘에서 일어나게 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우리의 시야에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지진은 땅속깊은곳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것들을 정확하게 예측하는것 자체가 불가능에 가까운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천문 역사와 우리나라에서 태양을 제외한 제일 먼저 발견한 행성은 무엇인가요 ?
예를들어, 우리나라 국민이면 모두다 알고 있는 신라시대의 첨성대가 천문역사를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첨서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관측시설로 알려지기도 하였지요. 그이후에 조선시대의 세종시대때 많은 천문학적인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금성을 가장 먼저 발견했다고 역사서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에 습도가 높은 이유가 뭔가여??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위치하여 있으며, 무엇보다 여름철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게 되어 태평양의 다습한 공기가 그대로 올라오게 되며 이 공기는 적도근처 지역에 있기에 굉장히 덥기도 합니다. 그 공기가 우리에게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덥고 습한 날씨가 유지되게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고기압과 저기압은 어떻게 형성되는지요?
고기압과 저기압은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지금 현재 제가 있는곳에 공기가 주변보다 조금이라도 많이 있다면 그지역이 고기압, 조금이라도 적게 있따면 그 지역이 저기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산에서 발생한 냉기가 지표면으로 흘러나올 수 있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나무에서 냉기를 만든다는데 나무에서 냉기를 만들어 내는 이유도 궁금해요
산에서 발생한 냉기가 지표면으로 흘러 올라오는걸 이해하기 위해선 기온의 역전현상을 알아야 합니다. 밤이 되어 지표면이 빠르게 냉각되고 산의 높은곳에 있떤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서 밀도가 높은 차가운 공기가 지표면으로 흘러나와 저지대에 머무르게 되는데, 나무가 냉기를 만들어내는 이유는 증산작용때문인데 나무가 광합성을 위해 물을 뿌리에서 흡수하여 잎으로 보내고 잎에서 기공을 통해 수분이 증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주변 공기가 시원하게 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별들을 보려면 어디로 가야지 가장 잘 볼 수 있나요?
별을 잘 보기위해선 여러가지 조건들 중 특히 날씨가 좋은날을 골라야해요! 그리고 주변의 불빛이 없는 지역에 가야하고 높은곳일수록 더 좋지요! 사시는곳이 어딘지는 모르겠지만 가까운 불빛이없는 시골로 가보시는건 어떠신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빛의 속도가 가능하다면 우주의 끝에 도달 가능한가요?
빛의 속도는 30만km/s로 움직입니다. 하지만 이 속도로 움직여도 태양계 끝까지 가는데 꽤나 많은 시간이 걸리지요! 그렇기 때문에 우주의 끝까지 가기에는 현실적으로 아직까지의 기술력으로는 부족하고 그리고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향후 우주탐사에서 랑그랑쥬 포인트에 있는 탐사가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라그랑지에 포인트는 두 천체의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으로 물체가 상대적으로 안정함을 유지할수있는 구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와의 통수신도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고 여러모로 탐사에 유리하기 때문에 라그랑지에 포인트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안드로메다와 거리가 250만광년인데 은하충돌이 일어난다는데 언제 완료되나요?
지금 계싼된 바로는 40억년 이후에 안드로메다은하와 우리은하가 충돌할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충돌 자체는 굉장히 큰 규모이기에 약 10억년정도 지속되는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완벽하게 마무리 되려면 50억년 후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되겠지요!
671
672
673
674
6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