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인간은 지구보다 중력이 더 강한 곳에서 생활이 가능할까요?
중력이 강하게 되면 그만큼 내가 받는 힘이 더욱 많아 지기 때문에 키가 훨신 더 줄어들수도 있고, 그만큼 걷는것도 힘들어 질것이고, 여러가지 생체 시스템 자체가 변경이 되면서 힘들어 질것으로 보이네용!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태양도 언젠가는 수명이 다한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맞아용! 태양도 생애가 있고, 이 생애는 태양이 내고 있는 에너지(수소와 헬륨등의 핵융합반응)가 다 소진되게 되면 어느순간 수명이 다하여 죽게 될것입니다! 수명을 다하면 적색거성이 되면서 주변의 행성들을 끌어당길수 있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육안으로 볼 수있는 변광성이 있나요?
지구에서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변광성은 세페우스자리의 델타, 페르세우스의 알골,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 백조자리의 델타,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 등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토성의 고리, 행성의 공전면은 왜 평면인걸까요?
이를 위해선 각운동량 보존 법칙과 중력의 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원시행성들이 태어나면서 각운동량 보전 법칙에 의해 평면을 유지하게 되고, 중력이 이러한 궤도의 안정을 야기 시키게 된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지층은 만들어진 순서대로만 쌓여있나요?
맞습니다! 지층은 차근차근 쌓이게 되지만, 이러한 현상들중에 갑자기 바뀌는 현상(역전현상), 뒤틀리는 현상(트러스트), 스왑현상 등이 여러가지 생기게 되어 처음과는 다르게 순서대로가 아닌 바뀌는 현상도 발견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배가 바다에 뜰 수 있는 부력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력은 물리적인 현상으로서 유체 속에 물체가 있을때 위쪽으로 힘을 받게 되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물체가 유체에 잠기게 되면 그 물체의 부피만큼 유체가 밀려나면서 위로 뜨게 되는 현상을 일컫는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여름 해가 길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을 계속 하고 있기에, 여름의 해는 우리 머리 위에 해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오랜기간동안 지평선 위에 있게 되고 그렇다보니 굉장히 뜨거운 기간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되는거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우주에 있는 헬륨의 대부분은 생성초기에 만들어진 것인가요.
거의 대다수의 헬륨과 수소는 초기 빅뱅 이후 만들어진것들입니다. 핵합성기간을 거치면서 거의 대다수가 만들어졌으며, 급격하게 냉각되면서 오늘날의 수소의 비율 75%정도로 유지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빅뱅 직후의 빛은 우주배경복사와 다른가요
빅뱅 직후의 빛과 우리가 현재 관측하는 우주배경복사는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습니다. 빅뱅 이후 밀도가 높고 매우 뜨꺼웠떤 우주는 플라즈마 상태였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빛이 자유롭게 이동할수가 없었습니다. 지금은 근데 이 반대가 되었기에 빛이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껫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오르트구름에 대하여 설명 요청드립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는 가상의 구형구조를 익컫습니다. 수많은 얼음덩어리로 구성되어있따고 보고 있습니다. 태양에서부터 약 2000~100,000AU정도의 거리에 떨어져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681
682
683
684
6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