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펭귄이나 북금곰이 엄청 추운 날씨에도 얼어붙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펭귄은 극한의 상황에서 살아갈수 있도록 자신의 몸을 변화 시켰습니다. 특히 두꺼운 깃털과 피하지방층은 추위에도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죠. 또한 서로를 부둥켜안는등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잇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는 지구에 필요한 광물같은게 있는걸까요?
현재는 그렇게까지 달 탐사를 목숨을 걸고 하고 있지는 않고 있죠. 달에는 주로 헬륨-3와 희토류 원소들이 굉장히 많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이러한것들을 가지고 오면 우리에게도 유용할수 있겠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사람이 사는 가장 추운지역은 어디일까요?
북극과 남극지역이 가장 춥겠지용! 그중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가장 추운지역은 러시아의 오이미콘이 가장 춥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체망원경이 더 좋어지면 슈퍼지구도결국 육안으로 볼수있나요
슈퍼지구가 무엇을 말씀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우리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여러 천체들을 더욱더 선명하고 보지 못했던것들을 찾아서 볼수도 있는 상황에 도달하게 될것입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하늘에서 난기류가 생기는 이유가 뭐에요?
하늘에서 난기류가 생기는 이유는 대기의 불규칙한 공기 흐름때문입니다. 적란운이 형성되거나 제트기류의 흐름이 갑작스러운 난기류를 일으키기도 하고 대류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똥별은 왜 떨어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우주의 많은 천체들 특히 왜소행성과 같은것들이 지구의 중력에 끌어당겨지고 이들이 대기권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대기의 마찰ㄱ에 의해 섬광현상처럼 밝게 빛나는 현상이 별똥별입니다! 유성이라고도 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간에 거리는 동일한가요?
모든 행성들 끼리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거리는 수성-금성 0.33AU, 금성-지구 0.28 AU, 지구-화성 0.52AU, 화성-목성 3.68AU, 목성-토성 4.38AU, 토성-천왕성 9.64AU, 천왕성-해왕성 10.83AU입니다! 점점 멀어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경향을 보이긴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최근 몇년간 발표된 과학적발견중 가장 흥미로운것?
가장 문제이면서 가장 근심이였던 코로나 관련 백신을 만들었다는게 어떻게보면 가장 큰 발견이자 흥미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가장 우리에게 힘들었던 시기를 극복해 나가는 좋은 기회였으니깐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에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밤마다 붉게 보이는 현상은 빛의 산란때문에 그렇습니다! 대기가 햇빛을 통과하면서 긴파장의 영역을 보이게 되면서 우리의 가시영역의 붉으스름한 부분만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구름과 안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구름과 안개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같습니다. 수증기가 뭉쳐지게 되면서 만들어지는데 이들이 지표면 근처에서 만들어지면 안개, 하늘에 떠있으면 구름이 되게 되는것이지요!
6966976986997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