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해가 길어지고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더위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식물에게 있어 더 많은 광합성을 일으키게 하지만, 그만큼의 휴식을 많이 취하지 못하기에 많은 생애를 보내지 못하고 짧은생애만 보내게 될것 같네요 그만큼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는 식물이 짧은 생애를 가지게 되겠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금성에 온도가 수성보다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금성이수성보다 멀리 있음에도 더 뜨거운 이유는 두꺼운 대기층이 있기 때문입니다. 금성은 주로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고 이야기하는 이 이산화탄소가 두껍게 있기 때문에 그만큼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잡혀 있다보니 훨신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거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과학 중에서 생물학 분야 몇가지 질문 입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이렇게 8개의 행성이 있습니다! 지구와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km이죠! 우주에서 또한 가장 큰 천체로른 초거대 은하가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우주는 계속 팽창한다는데 은하 간 거리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나요?
우주의 팽창 즉 빅뱅은 모든 은하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있기에 서로 영향을 크게 미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것들은 적색편이현상이 발생하는것을 토대로 알게 되었는데요. 우리가 알수 없는 어떤 중심을 기준으로 이 중심에서 가깝다면 훨씬 적게 움직일것이고 멀면 더 많이 움직이게 되겠지요. 우리가 트랙에서 달리기를 할때 안쪽과 바깥쪽에서 뛰어야 하는 양의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행성에 대한 정의는 태양주위를 공전하여야 하고,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으며 행성 자체가 구형 거의 가까워야 하며, 궤도 주변에는 깨끗하게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야 한다 이지만 마지막 3번째에 명왕성은 태양계 외각의 카이퍼벨트에 존재하며 많은 소천체들이 존재하므로 충족을 하지 못하며 2006년 행성의 자격을 박탈 당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해오름? 이런것도 결국 토네이도의 일종인가요?
해오름은 보통 태양이 떠오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토네이도와는 관련이 없고. 회오리바람? 을 이야기 하시는것 같습니다. 회오리바람은 국지적인 지역에서의 강한 상승기류로 발생하는 것이고, 토네이도는 주로 열대저기압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적도 부근에 사막도 많고 덥잖아요. 왜 그렇게 더운건가요?
적도가 다른 위도보다 더 더운 이유는 태양복사 에너지가 들어오는 각도 직각으로 들어오게 되겠지요. 즉 내 머리 바로 위에 태양이 있기에 좁은면적에 많은양의 에너지를 받을수 있게 됩니다. 적도부근에서는 수증기의 증발이 그만큼 만이 생기게 되고 그럼에 따라 수분의 공급이 부족하게 되는 지역에서는 사막이 많이 생기게 되고, 더위를 더욱 더 많이 느끼게 될수 있게 되는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적도가 왜 다른 위도보다 더 더운걸까요?
적도가 다른 위도보다 더 더운 이유는 태양복사 에너지가 들어오는 각도 자체가 직각으로 들어옵니다. 즉 내 머리 바로 위에 태양이 있기에 좁은면적에 많은양의 에너지를 받을수 있게 됩니다.또한 낮과 밤의 길이가 비슷하기에 꾸준히 태양 에너지가 공급되어 더움을 많이 느끼게 되는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통합과학 지구과학 주제 추천해주세요
가장 요즘 많이 사용하고 있는 주제는 기후변화 인것 같습니다. 기후변화를 통해 우리 삶이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서 조사하면 좋을것 같구요. 또한 근래에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많이 가지게 되는것 같네요. 지진도 같이 이야기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핵융합 발전은 물리학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핵융합 발전은 물리학에 속해있는 분야입니다. 힉융합 자체는 두개 이상의 원자핵이 겨 ㄹ합하여 더 무거운 원자핵을 형성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이고 이러한 과정은 핵물리학에 대한 영역입니다!
701
702
703
704
7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