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닷가에 놀러갔는데 모래의 질이나 촉감이 다른데 모래에도 종류가 있나요?
모래도 돌처럼 여러 종류가 될수 있는게, 실제로 얼마만큼의 풍화침식을 받았냐에 따라 알갱이의 크기가 달라질수 있고, 우리가 느끼기에 다른 모래인것처럼 느낄수 있지요. 그렇게 느끼기위핸 어디서 형성되었냐에 따라 다른데, 강이나 바다냐 사막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미래가 될지 모르지만 시간여행이 가능한걸까요?
시간여행은 공상만화나 공상영화에서 존재하는 허구일뿐입니다! 이를 이야기하기 위해 아이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이해해야하는데요, 비슷한 맥락으로 인터스텔라에서 행성에 들어갔지만 나의 1분이 우주선에서 1년과 같다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시간여행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한. 그렇기 위해 우리 시공간의 개념 자체가 틀어지게 되는데,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것으로 판단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 주위에 태양이 3개 였다면 지구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지구주변에 태양이 3개 있었따면, 아마 너무 뜨거워서 생명체가 존재할수 없었을겁니다. 생명가능지대(골드락스존)에는 여러가지 조건이 같이 고려되어야겠지만, 특히 태양복사에너지가 얼마만큼 오냐에 따라 큰 영향을 미치게 되지요. 만약 태양이 3개 있었다면 그만큼의 중력도 굉장히 크게 작용 했을것이고, 무엇보다 너무 많은양의 복사에너지에 의해 이미 지구는 수성과 같은 절차를 밟고 있었을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