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트럼프 1기시 미국의 금리가 높게 올랐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트럼프는 재정을 많이 쓰기도 하지만 큰 감세정책을 펴는 편입니다 세금을 적게 걷으면 결국 채권을 많이 발행해야하고 그러면 시중금리가 올라가게됩니다
경제정책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예금자보호가 1억까지 상향될까요?
가능성이 꽤 높다고 봅니다 최근에 여야가 빨리 처리하려고 하는 민생법안에 예금자보호법도 포함되어있습니다1억원까지 확정일지는 몰라도 가능성은 큽니다
대출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집 살때 대출.. 보통 집값. 즉 대출받으려는 돈의 몇퍼센트를 처음에 제가 내고 시작하는건가요?
대출하려는 금액의 몇프로를 내가 먼저 낸다 라는 개념은 없는데보통 집을 사거나 할때 처음에 계약금으로 10프로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남은 90프로에서 최대 60~70까지 대출이 되고 나머지는 따로 구해야합니다
자산관리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일하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그런방식으로 하나 준비하고있는것이 주식투자입니다1프로떨어지면 사고 3프로 오르면 파는 방식으로 계속 거래를 해서 지속적인 수익을 내는 것잊니다
경제정책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미국의 대선은 우리나라와 틀리게 진행
가장 큰 차이점은 우리나라는 지역에 상관없이 우리나라 국민이면 모두 똑같이 한표씩 가치가 있는데미국은 각 주별로 몇표짜리 인지 정해져있고 그 주에서 이긴사람이 그 주의 표를 다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1997년 외환위기의 원인은 무엇이었나요?
저는 그 당시 아시아 경제 위기가 우리나라 IMF 외환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봅니다. 그 당시 태국에서 외환 위기가 발생하면서 한 묶음으로 보던 동아시아 경제권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금을 다 빼버렸습니다. 그러면 이제 외환 부족 사태로 위기가 발생한 것이죠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주식보면 분할 매도, 분할 매수라고하던데 어떤건가요?
주식 분할매수 분할 매도라고 하는것은 나눠서 사고 나눠서 팔라는 것잊니다누구나 가능하고 국내주식이든 해외주식이든 코인이든 다 가능합니다부동산 같은 규모가 큰 자산은 분할투자가 어렵습니다
경제정책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가 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알려주세요!
당연히 어떤분야에서든 최고가 되기위해서 최우선은 노력입니다그런데 제가 특별히 더 강조할 부분은 사람과의 관계입니다선배든 스승이든 동료든 간에 배울수 있는 점이나 또는 개선점이나 빨리 최고의 경지에 도달할수 있는 경로를 아는 사람을 만나는 것도 큰 요소입니다
경제정책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세금 정책과 정치적 측면 부분에서 궁금한 사항
세금도 확실히 정치적 결정이 있습니다그래서 정권이 바뀔때마다 세금 제도도 달라지고 이번에 금투세 논란같은것도 끊이지 않는 것입니다실제 사례로는 저소득층에 대한 감세 조치등으로 근로의욕이 줄어드는 것도 경제적으로만 보면 사회적 손실입니다
대출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신용도를 올릴수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무엇인가요?
제가 알기로 단시간 내에 신용점수가 떨어질 수는 있지만 오르기는 어렵다고 알고 있습니다신용점수 올리는 법에 대해서 의견이 많이 나뉘지만 확실한 것은 대출이나 분할납부 신용카드 같은 것을 늦지 않게 꼬박꼬박 잘 내는것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566
567
568
569
5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