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유가가 최근 2% 가깝게 떨어진 이유는 어떤 이유에서 그런가요?
원유는 경기 상황과 비례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경기가 활성화되었을 때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원유도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나오면서 원유 가격이 하락한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반도체가조정을받고있다면 앞으로는요?
반도체가 대표적인 경기 민감주의자 약간 선행 지수 입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이 차 반도체가 엄청나게 떨어지는 이유입니다. 결국 미국 경기가 침체하느냐 침체하지 않느냐에 따라 반도체 주식 전망이 달라집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주식을 배당주만 차곡차곡 모으는 게 의미있을까요?
제가 지금은 정확히 생각이 안나지만 예전에 배당주를 꾸준히 모으는 것에 대해 수익률이 얼마나 좋은지 통계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배당주는 성장성이 약하다. 라는 편견을 대고 성장주에 비해 큰 차이 나지 않았습니다. 배당 주만 꾸준히 모으는 것도 괜찮습니다. 당연히 예금적금보다 수익률이 좋을 가능성이 있 이 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리플 현물 ETF가 들어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나요?
일단 우리나라에서는 지본시장법이었던가 하는 법에따라서 현물 코인 etf는 만들수도 없고 한국인이 투자하는것도 불법입니다. 그래서 법이 바뀌지않는이상 리플 현물 etf는 들어올수가 없습니다.
경제용어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주가 폭락의 원인으로 들리는 R의 공포가 뭔가요?
r의 공포라고 하면 리세션을 말합니다. 리세션이란 경기침체를 말합니다. 어제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가 낮게 나오면서 미국 경기침체 우려가 있습니다. 그래서 경기침체 우려로 투자자산시장이 폭락한 것입니다.
자산관리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국민연금의 보험료율이 9%~13%로 인상되고 장기 지속 가능한 제도 개편 한다고 합니다. 아무리 국가라고 하지만 공청해 없이 이렇게 할 수 있나요?
몇달전에 국회에서 몇달간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서 상당히 논의를 하고 그 과정에 국민들 의견수렴도 어느정도 있었던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번 정부의 정책은 일단 방향을 정해놓고, 이후에 국민들의 여론을 살펴본뒤에 확정을 하거나, 변경이나 취소를 하거나 하지않을까 싶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앤 캐리 청산'이란 건 무엇을 말하나요?
일단 엔 캐리 트레이드부터 알아야 하는데엔캐리트레이드란 일본의 저렴한 이자율로 돈을 빌려서 해외의 고수익 투자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최근 일본 엔화 가치도 올라가고 이자율도 올라가면서 이러한 투자자금이 청산되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중국의 조선산업 1위 2위 기업이 합병을 한다는데 우리나라 조선주에 영향이 있을까요?
아무래도 우리나라 조선소와 중국의 조선소는 경쟁관계에 있습니다. 중국이 컨테이너선 중심으로 수주를 하고있고, 우리나라는 엘엔지선 등 특수선 중심으로 수주를 많이 하고있는데특수선이 수주 단가가 높은것도 있지만 컨테이너선을 중국이 너무 많이 만들어서 경쟁이 안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런데 중국 대형 조선소들이 합병을 해서 더 대형화되면 아무래도 장기적으로 경쟁력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우리나라 조선소들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가상화폐 전문가들이 비트코인 상승전환시점을 11월로 보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제가 보는 관점에서 미국 대선을 기점으로 코인시장이 반등할수있지않을까 생각하고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후보는 상당히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며 코인을 전략적 비축자산 급으로 만드려는 언급을 하고있습니다. 실제로 할지는 알수없습니다만...그런 측면에서 미국 대통령 선거이후 11월쯤 대 반등이 있을수 있다고 봅니다.
경제동향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자영업자들이 견디지 못하고폐업하는 사람들이 늘어간다는데요?
청구에서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많이 올리면서 사람들의 소비도 줄어들고 사업자들의 대출 이자율도 올라가서 자영업자들이 매우 힘들어진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일 년 정도 지금처럼 힘들다라는 가정하에 사업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사업을 잡는 게 나을 것 같고 그래도 버틸 자신이 있다 하면 정부 소상공인 지원 사업들을 찾아보시고 도움될만한 자금 지원 등을 확인해서 계속 나아가시기 바랍니다
606
607
608
609
6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