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햇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무지개빛이 보이는데...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햇빛을 프리즘 2개 이어서 통과시키면 광학적 분해가 일어나게 됩니다.프리즘은 광선을 통과 시켰을 때, 광선이 굴절하면서 빛을 구성하는 스펙트럼 색상들이 분해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진 색상으로 분해되어 나오게 되며, 이를 기본 색상인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따라서, 햇빛을 프리즘 2개 이어서 통과시키면 광학적 분해에 의해 빛이 스펙트럼으로 분해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Q. 야광이 깜깜한 밤에도 빛이 나는 이유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반짝반짝 빛이 나는 야광제품은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발광체와 화학 시약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깜깜한 밤에 시야를 도와주도록 설계된 제품입니다.이러한 야광제품은 밤에 빛이 없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빛의 상태에 따라 반사, 굴절, 빛의 충돌 등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즉, 어두운 환경에서는 반짝반짝 빛이 나는 야광제품의 반사나 굴절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밝은 환경에서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야광제품은 주로 밤 등 어두운 환경에서의 작업, 운동, 등산 등에 많이 활용됩니다. 또한, 어린이나 반려동물 등의 안전에도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Q. 1592~1598년까지 7년동안 계속 된 임진왜란을 다른 한편으로 도자기 전쟁이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어난 대규모의 일제 침략전쟁으로, 전쟁과 관련된 모든 것이 부족한 상황에서 군사 조달용으로 도자기 생산에 주력하였기 때문에 "도자기 전쟁"이라는 별칭이 부여되었습니다. 군사·병참대 등에서 청나라와 함께 도자기 제작을 위해 병사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청나라 병사들이 전사한 도자기가 이후 추잡한 재료 대용품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또한, 청나라는 도자기 영토를 확보하기 위해 전쟁 참전을 결정하였고, 귀족층과 백성층 모두가 전통 문화와 풍속을 보호하기 위해 도자기 생산에 힘쓰기도 했습니다.
Q.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온수는 왜 뿌옇게 나오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온수가 뿌옇게 나오는 이유는 수도관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덩어리와 수관에서 나오는 찬물과 뜨거운 물이 혼합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염이나 소켓 등 수도관 내부의 오염 물질도 뿌옇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혼합은 수도관 내의 물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각종 오염물질이 수집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따라서,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온수가 뿌옇게 나오는 이유는 수도관 각 지점에서 수관과 뜨거운 물이 혼합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를 막기 위해서는 수도관의 청결 유지와 물이 움직이는 속도 및 유량 등을 철저히 제어하여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같은 나무에서 나뭇잎 색깔이 다른 이유는?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환경적인 요인이 큽니다.~^^ 빛, 온도, 습도, 건조도 등이 다른 나뭇잎의 색깔에 영향을 미칩니다. 충분한 양의 빛과 영양분이 있는 경우, 나뭇잎은 엽록소를 충분히 합성하여 녹색으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빛과 영양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나뭇잎은 녹색이 아닌 노란색, 빨간색 등의 색깔로 변할 수 있습니다. 긜고 가을이 되면 나뭇잎이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등으로 변하는 것은 나무가 겨울을 이겨내기 위해 엽록소를 모아둬서 식물체내에서 재사용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