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에는 많은 광물들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희토류의 희귀성과 생산성, 다양성으로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데, 희토류의 종류와 사용은 어디에 많이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희토류는 말그대로 희긔한 광물로 보시면 됩니다. 산업전반 여러분야에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 반도체,2차전지등에 많이 사용됩니다.희토류는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혼합물 형태로 존재 합니다. 하여 이를 제련하여 순수한 희토류를 추출해야 하는데 이때 엄청난 발암물질과 방사선물질 그리고 환경오염물질이 방출됩니다. 하여 이와같은 오염물질을 걸러내기위한 처리시설이 필요한데 엄청난 자금이 투입됩니다.하여 일반 선진국에서는 엄두도 못내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여 환경오염을 감수하고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제련하는 나라가 중국입니다. 하여 중국이 희토류 광물을 저렴하게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고 세계 공급량의 80~90%를 점유하고 있는것입니다. 호주 미국,브라질등 여러나라가 광물을 중국으로 보내 다량의 희토류를 제련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들 나라는 자국의 환경정책으로인해 제련 자체가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Q. 스테인레스 304, 430, 316 여러종류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스테인레스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스테인레스의 핵심은 니켈과 크롬의 양이 얼마나 함유되고 있느냐 입니다.SUS300계열중 304와 301이 가장 산업 및 생활가전, 식기,주방용품등에 가장많이 사용되며 316은 니켈함량이 높고 몰리브덴이 함유되어 있어 내부식성이 가장 강한재료입니다. 하지만가격이 비싸고 용접성이 않좋은 것이 단점 입니다.430은 니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저급 스테인레스스틸 입니다. 가격순위 316>301>304>430사용량 순위 304>301>430>316내부식성 성능순위 316>301>304>430가공성순위 430>304>301>316304는 니켈함량 6~8% 크롬함량16~18%이며 301은 니켈함량 8~10.5% 크롬함량18~20%입니다.316은 니켈함량 10~14% 크롬함량16~18%, 몰리브덴 2~3%입니다.430은 니켈함량 0% 클롬함량16~18%입니다.일반적으로 304가 가장 보편화되어 있으며 301과의 성능 차이도 미세합니다. 또한 316이 내부식성능이 가장좋다고 하지만 산업에서 요구하는 성능의 수준을 넘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가 아닌이상 316을 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430은 내부식성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아연도금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내식성을 요구하는 부위에 적용합니다.
Q. 철보다 강하고 가벼운 신소재는 개발중일까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철은 홀로 있을때 매우 약하고 연한 재료 입니다. 철에 탄소,규소,망간,황,인등을 함유 했을때 강한 재료가 됩니다. 이를 탄소강이라 합니다.다만 무겁다는것이 단점이 됩니다. 이를 개선하기위해 철합금에 알루미늄,티타늄 등을 넣은 합금이 개발 되었습니다.철-알루미늄 합금은 철 합금에 비하여 1.5배 강하고 15%가볍습니다. 철-티타늄 합금은 철합금에 비하여 1.5배 강하고 40%가볍습니다. 또 비금속 재료로 탄소섬유복합재가 있는데 이것은 철합금보다 10배 강하며 80%가볍습니다. 다만 이러한 재료들은 철-합금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문제 입니다.알루미늄은 철보다 약 2~4배이상 티타늄과 탄소복합섬유는 40~100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것이 관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