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마의가 정권을 어떻게 잡았는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마의는 공손연 토벌 후 적시 귀환으로 조우를 앞세운 정적 진랑, 하후헌 일파와의 알력에서 우위를 점해 명제의 고명대신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사마의는 239년 조예가 죽고 조방이 즉위하자 고명대신의 명분으로 정권을 잡게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근거가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나일본부설의 근거로 들어지는 사료로는 크게 391년 광개토왕릉비 신묘년 기사, 《일본서기》에 진구 황후 편에 신라와 백제가 조공을 바쳤다는 내용의 기사, 백제의 칠지도 명문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8세기의 역사서 《일본서기》에 근거하여 임나일본부의 실재 여부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많은 이견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지에서 도원결의한 곳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원결의는 장비의 집 복숭아 뜰에서 검은 소와 흰 말을 제단 앞에 제물로 두고 맹세를 했다고 합니다. 제단의 정확한 명칭은 ‘삼의묘(三義廟)'이며 지금의 하북성 탁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원나라가 티벳불교에 심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티베트불교가 처음 몽골에 들어온 것은 몽골제국이 중국을 거쳐 티베트까지 영토를 확장하던 오고타이 황제 때였다. 오고타이칸의 둘째 아들 쿠텐은 티베트 중부지역을 관할하던 중에 사캬(Sa-Skya) 판디타를 만나게 되었고 그에게 불교 교리를 듣게 된다. 쿠빌라이는 인질로 몽골 왕실에 남게 된 사캬 판디타의 조카 팍파(1235-1280)으로 인해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후에 칸의 자리에 오르고 나서는 그로 인해 몽골 왕실과 지배층에 티베트불교가 전파되었다. 원 세조 쿠빌라이칸이 티베트불교를 국교로 삼아 장려한 것은 대내적으로는 백성들의 통치와 제국의 안위를 도모하기 위함이었고, 대외적으로는 팍파를 국사로 삼아 자신의 수하에 둠으로써 티베트를 정치적 속국으로 효율적으로 지배하고자 하는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룩 콱텐, 1984:338). 쿠빌라이칸 이후의 몽골제국의 칸들은 티베트불교를 국교로 신봉하였고 티베트의 라마승들은 원나라 황제들의 정신적인 자문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했다. 그러나 당시 티베트불교는 왕족을 비롯한 지배계층의 종교였으며 일반 몽골 사람들은 여전히 전통적 민간신앙인 샤머니즘을 믿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진시황릉의 병마용갱의 조각상은 얼굴 표정이 다 다르다던데 정말인가요? 조그 과장해서 하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마용갱은 진시황이 지휘하던 병사들을 한 사람씩 그대로 본떠 만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병종과 신분에 따라 갑옷의 형태가 다르고 허리띠·머리 모양·신발·끈·매듭 등도 모두 정교하게 조각됐습니다. 심지어 모두 뚜렷한 개성을 가진 각기 다른 얼굴을 하고 있고 콧수염과 턱수염마저도 다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합스부르크 왕조의 역사와 멸망의 원인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합스부르크 가문은 13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오스트리아를 거점으로 중부유럽의 패권을 휘어잡았던 가문이다.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를 세습하면서 근세 유럽의 얼마 안되는 황제 가문으로서 최고의 권위와 영예를 누렸다.합스부르크 황실이 지배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에 동맹국으로 참전했다가 패전함으로 인해 제국이 해체되고 본거지인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합스부르크가 지배했던 모든 나라들이 군주제와 귀족제를 폐지함으로써 모든 제위와 왕위를 상실하고 특권이 소멸했지만, 여전히 유럽인의 향수를 자극하는 선망의 명문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EU가 강력범죄자 사형을 지양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형제도 폐지 운동은 EU의 우선 정책 과제 중의 하나입니다. 사형제도 폐지는 인간 존엄성 강화와 인권의 점진적인 발전에 기여한다는 판단에 기인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앓았다는 소갈증은 오늘날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消)란 '태운다는 뜻으로' 열기가 몸안의 음식을 잘 태우고, 오줌으로 잘 나가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갈(渴)이란 '자주 갈증이 난다'는 뜻입니다. 소갈이라는 이름에서부터 이 소갈병은 음식을 자주먹고, 갈증이 나며,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을 보이는데 특히 비만인 사람에게서 잘 나타납니다.소갈병은 현대의학에서의 당뇨병과 같으며 오줌이 달다거나 조직의괴사, 망막염으로 인한 시력의 소실 등 당뇨병의 합병증을 비롯하여 당뇨병의 거의 모든내용들이 「동의보감」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인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메이지 유신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점에서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일본 내에서의 역사적인 평가는 대체로 호의적입니다. 일본 내에서는 이토 히로부미가 정치적으로 온건파 성향이 강했기에, 그가 사망한 상황에서 그의 정치적 노선을 계승할 인물이 없어 일본의 급진적인 군국주의가 심화되고 제2차 세계 대전을 불러와 패망했다고 평가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이토는 초대 일본 총리로서 입헌군주제의 확립에 큰 역할을 했고,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같은 골수 천황주의 계열 보수파들과 대립하면서 일본의 근대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에 대해 모두 개전에 반대하는 등 가급적이면 전쟁을 억제하려는 면모를 보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네덜란드 에도막부 교류는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과 네덜란드의 교류는 1641년부터 1859년까지 이어졌습니다. 1868년에 에도 막부가 무너지고 메이지 유신으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뒤에도 우호적인 관계는 유지되었고 일화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성립되었습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