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나라가 티벳불교에 심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티베트불교가 처음 몽골에 들어온 것은 몽골제국이 중국을 거쳐 티베트까지 영토를 확장하던 오고타이 황제 때였다. 오고타이칸의 둘째 아들 쿠텐은 티베트 중부지역을 관할하던 중에 사캬(Sa-Skya) 판디타를 만나게 되었고 그에게 불교 교리를 듣게 된다. 쿠빌라이는 인질로 몽골 왕실에 남게 된 사캬 판디타의 조카 팍파(1235-1280)으로 인해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후에 칸의 자리에 오르고 나서는 그로 인해 몽골 왕실과 지배층에 티베트불교가 전파되었다. 원 세조 쿠빌라이칸이 티베트불교를 국교로 삼아 장려한 것은 대내적으로는 백성들의 통치와 제국의 안위를 도모하기 위함이었고, 대외적으로는 팍파를 국사로 삼아 자신의 수하에 둠으로써 티베트를 정치적 속국으로 효율적으로 지배하고자 하는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룩 콱텐, 1984:338). 쿠빌라이칸 이후의 몽골제국의 칸들은 티베트불교를 국교로 신봉하였고 티베트의 라마승들은 원나라 황제들의 정신적인 자문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했다. 그러나 당시 티베트불교는 왕족을 비롯한 지배계층의 종교였으며 일반 몽골 사람들은 여전히 전통적 민간신앙인 샤머니즘을 믿었다.
Q.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앓았다는 소갈증은 오늘날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消)란 '태운다는 뜻으로' 열기가 몸안의 음식을 잘 태우고, 오줌으로 잘 나가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갈(渴)이란 '자주 갈증이 난다'는 뜻입니다. 소갈이라는 이름에서부터 이 소갈병은 음식을 자주먹고, 갈증이 나며,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을 보이는데 특히 비만인 사람에게서 잘 나타납니다.소갈병은 현대의학에서의 당뇨병과 같으며 오줌이 달다거나 조직의괴사, 망막염으로 인한 시력의 소실 등 당뇨병의 합병증을 비롯하여 당뇨병의 거의 모든내용들이 「동의보감」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Q.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인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메이지 유신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점에서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일본 내에서의 역사적인 평가는 대체로 호의적입니다. 일본 내에서는 이토 히로부미가 정치적으로 온건파 성향이 강했기에, 그가 사망한 상황에서 그의 정치적 노선을 계승할 인물이 없어 일본의 급진적인 군국주의가 심화되고 제2차 세계 대전을 불러와 패망했다고 평가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이토는 초대 일본 총리로서 입헌군주제의 확립에 큰 역할을 했고,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같은 골수 천황주의 계열 보수파들과 대립하면서 일본의 근대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에 대해 모두 개전에 반대하는 등 가급적이면 전쟁을 억제하려는 면모를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