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미술
미술 이미지
Q.  임금님을 그린 초상화를 어진이라고 하는데 실제 모습을 그린걸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많은 미화가 들어가는 다른 나라의 초상화와는 다르게, 조선의 초상화는 표정, 안색, 눈빛 등을 보정하지 않았고 천연두 자국이나 사마귀도 그대로 표현했습니다. 심지어 이는 왕의 초상화인 어진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종반정을 주도했던 신하들이 왜 중전에 오른 신씨를 폐위하려고 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종반정이 성공하면서 진성대군이 왕이 되었으니 자연스럽게 신씨(단경왕후)도 중전이 되었으나, 고모가 연산군의 비이고, 하필 아버지 신수근이 폐주 연산군의 처남이었던 터라 역적이 되었기 때문에 반정세력의 요구에 따라 고작 7일 만에 폐출당하고 말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성폭행범은 어떻게 처벌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청나라 형률서인 을 따랐습니다. 이들 형률서의 성범죄 처벌 조항에는 “무릇 화간(和姦)은 장 80대, 남편이 있으면 장 90대이다. 조간(勺姦·여성을 유혹한 뒤 간음)은 장 100대이고, 강간은 교수형에 처한다. 강간미수죄는 장 100대에 유배 3000리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에서 처형은 어디에서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사형장은 주로 도성에서 서쪽으로 10리 안팎 떨어진 당고개, 양화, 새남터와 서소문 밖 등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사형은 주로 만 백성이 보는 앞에서 행해졌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흉노족과 신라는 실제로 어떤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무왕 비문에는 신라 김씨들이 흉노를 자기들의 조상으로 여겼다는 조상의식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신라 김씨 왕족의 뿌리가 바로 흉노족 김일제라는 것이다. 신라는 흉노의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신라의 뿌리가 흉노족이라는 사실도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신라는 흉노의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신라의 뿌리가 흉노족이라는 사실도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김일제는 기원전 86년에 3만 여명의 흉노족을 데리고 중국 산둥성에 투국이라는 나라를 세웠다. 김일제 후손들은 7대에 걸쳐 한나라에서 영화를 누렸지만 중국 대륙에서 전한과 후한을 가르는 대격변이 일어나면서 중국 역사에서 사라졌다. 전한은 왕망의 쿠데타로 인해 망했는데 당시 왕망을 도왔던 김당은 김일제의 증손자이다. 또한 왕망과는 이종사촌 사이로 후한을 건국한 유수가 왕망을 멸하면서 더불어 김일제의 후손 모두 멸할 위기에 처해 새로운 은신처를 찾아 떠난 것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의 놀이동산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세워진 놀이공원은 1976년 4월에 만들어진 용인자연농원입니다. 현재는 에버랜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의 역사상 가장 오래간 국가는 어느나라였나여?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新羅)는 약 1천 년간 56명의 군주를 거치며 한국사를 통틀어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존속하여 천년왕국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시대 작위는 어떤 기준으로 나뉘며, 부모로부터 계승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작위의 상속은 일반적으로 가문의 힘이 흩어지지 않게 장자(長子 큰 아들) 상속을 원칙적으로 했으며, 결혼을 통해 귀족들 간에 횡적으로 연결되는데도 큰 역할을 했다. 남자 상속자가 없는 경우에도 봉토와 작위는 완전히 몰수되지 않고 잠재적으로 상속은 이루어졌다. 작위가 없는 남자가 결혼 관계를 통해 작위를 물려받는 경우, 엄밀히 따지면 '아내의 작위를 대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상속은 두 사람의 자녀 대에 이루어지게 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강점기 시대에 발행된 여유당전서는 어떤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유당전서는 154권 76책 활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유당(與猶堂)은 당호(堂號)이다. 모두 7집으로, 제1집은 25권 12책으로 시문집(詩文集), 제2집은 48권 24책으로 경집(經集), 제3집은 24권 12책으로 예집(禮集), 제4집은 4권 2책으로 악집(樂集), 제5집은 39권 19책으로 정법집(政法集), 제6집은 8권 4책으로 지리집(地理集), 제7집은 6권 3책으로 의학집(醫學集)이다.1930년대 조선학 운동의 목적으로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수집하여 내놓았는데 편자는 1934년 정약용 5대손 정향진이 비매품으로 초판을 발행하였다.그 후 외현손 김성진(金誠鎭)이며, 정인보(鄭寅普)와 안재홍(安在鴻)이 함께 교열에 참여하였다. 이후 몇 차례 영인본으로 간행되었다가, 2012년 다산 탄신 250주년 맞이하여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총 37권의 정본 여유당전서(이하 정본)를 펴냈다. 정본은 현대인이 읽을 수 있도록 가로쓰기로 편집하였으며, 교감 및 표점이 되어 있어 기본적인 한문 소양이 있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소동파가 고려를 비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동파가 살던 시기의 동아시아는 고려와 북송, 거란이 각축했다. 북송 서쪽에는 서하도 건재했기에 동아시아 국제정세는 4강 체제였다. 고려와 송나라는 우호 관계였다. 거란의 압박에 국력이 약화된 북송은 고려를 크게 의식했다. 나라의 살림에 문제가 될 정도로 고려 사신을 환대했고, 고려의 외교관은 상대적으로 고자세였다.이를 굴욕외교로 여긴 소동파는 반 고려 입장에 섰다. 이 무렵에 거란은 송나라를 치기 위해 고려를 침공했다. 그런데 소동파는 거란과 고려의 전쟁 사실도 모른 체 고려를 오랑캐로 칭하는 개인적 편견과 적대감을 드러낸다. 그는 상소문인 ‘논고려진봉장(論高麗進奉狀)’에서 “고려 사신 접대를 위해 사관을 짓고, 배를 건조하느라 농민 어민 상인들이 병이 날 정도로 힘들어한다. 나라에는 조금의 이득도 없는데, 오랑캐는 엄청난 이득을 얻는다”고 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