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반딧불이 내는 불빛과 LED 불빛은 같은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반딧불이 내는 빛은 반딧불의 아랫배 끝부분에서 발생하는데요.이는 전기를 이용해 빛을 내는 것이 아닌 화학반응으로 빛이 나는 것입니다.보통 이런 현상을 생물발광이라고 하는데, 특정 단백질이 에너지롤 소모하고 산소와 결합하면서 빛이 나게 됩니다. 반딧불의 경우 발광부위에 루시페린이라는 단백질이 있고, 루시퍼레이즈라는 효소가 있습니다.루시퍼레이즈가 루시페린을 루시페릴 아데닐산으로 바꾸고, 생성된 루시페린 아데닐산이 산소와 결합하여 옥시루시페린으로 변하는데 이 때 빛이 발생합니다.위의 반응과정에는 ATP가 소모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에 대해서 궁금한점 몇가지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인체에서 폐의 폐포에 있는 모세혈관을 적혈구가 지나가면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산소를 받아들입니다.그리고 각 몸에 있는 모세혈관에서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받아옵니다. DNA는 뉴클리오타이트 3개를 사용해 아미노산 하나를 암호화하는 트리플렛코드로 유전정보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런 정보는 mRNA로 전사된 후 단백질로 번역됩니다. 동물 세포 내에서 세포호흡을 통해 ATP를 생성하는 세포소기관은 미토콘드리아 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A형과 O형사이 A형이 세명이나..
안녕하세요.A형 혈액형은 두가지 유전자 조합을 가질 수 있습니다.AA와 AO입니다.O형의 경우 OO 조합만 가집니다.ABO혈액형유전자도 부모로부터 반씩 물려받으므로만약 부모가 각각 AA / OO형이라면자녀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A형만 나옵니다.(세명 모두 AO조합)만약 부모가 각각 AO / OO형이면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A형이 나올확률 반, O형이 나올 확률 반 입니다.그래서 A형인 부모가 AA의 유전자를 가졌다면 세 자녀 모두 A형,A형인 부모가 AO유전자를 가졌더라도 1/8 확률로 자녀 세명이 모두 A형 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둘기 목은 왜 형광색을 띄고 있나요?
안녕하세요.조류의 깃털은 자체의 색소를 가지기도 하지만, 색소없이도 특이한 색을 낼 수 있습니다.조류의 깃털은 종류에 따라 미세한 구조에 의해 빛을 회절시키고 반사시켜 특이한 색을 냅니다.비둘기의 목깃털의 신비한 색도 실제 색소가 존재하지 않고 깃털표면의 미세구조가 빛에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입니다.새들이 가진 파란색이 이런 방식으로 색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실제로 파란 색소를 가지지 않아도 깃털의 표면구조로 파란색을 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몸집 대비하여 가장 큰 뇌를 가지고 있는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일반적으로 몸이 작을수록 몸대비 뇌의 비율이 큽니다.몸집에 대비하여 가장 뇌가 큰 동물은 개미입니다. 1:7 정도의 비율을 가집니다.사람도 포유동물 중에서는 몸집 대비 뇌가 큰 편입니다. 하지만 포유류 중 몸대비 뇌가 가장 큰 동물은 나무두더지입니다. 몸 질량의 약 10%를 차지합니다.인간은 2~2.5%를 차지합니다. 보통 몸집이 커지면 뇌의 크기도 커지지만, 몸대비 뇌의 비율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꽃과 나무이름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길쭉한 흰 꽃과 전체적으로 핀 모습을 봐서 이팝나무로 보입니다.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가로수로 심기도 합니다.5~6월중에 2주간 흰색 꽃이 핍니다.수꽃나무와 양성화나무가 있는데 양성화나무인 경우가 꽃이 더 풍성하게 자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죽을 때 눈을 감는 사람과 뜨고 죽는 사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죽을 때 눈을 감고 죽는 사람은 보통 천천히 임종을 준비하고 자는듯이 사망할 때 눈을 감고 죽게됩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 사후경직이 일어나며 눈이 살짝 떠질 수 있습니다.급작스러운 죽음의 경우 눈을 감을 틈도 없이 사망하거나, 극도의 공포감이 있는 상황에서 사망하면 사후경직이 빠르게 일어나 눈을 뜬채 사망할 수 있고,의식을 계속 유지한채 버티다 사망하는 경우 눈을 감지 않은채 사망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에 사는 거북이와 땅에서 사는 거북이는
안녕하세요.육지거북과 물에사는 거북의 가장 큰 차이는 발의 모양입니다. 물에사는 바다거북은 발의 모양이 물갈퀴가 발달한 형태로 헤엄을 치기 알맞은 구조를 가집니다. 반면 육지거북은 땅에서 걷기 쉬운 발 모양을 가집니다. 육지거북은 물에 뜰수는 있지만 헤엄을 치지 못하기 때문에 물에서 생존하기는 힘듭니다.반대로 바다거북은 무게때문에 육지에서 움직이기 힘들며 먹이를 먹지 못하기 때문에 바다가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들이 걸으면서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비둘기를 비롯한 몇몇 조류들이 걸을 때 머리를 앞뒤로 흔들게 됩니다.이런 움직임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걸을 때 머리가 먼저 앞으로 나가면서 무게중심이 앞으로 치우치며 몸이 따라가며 걷습니다.실제로 머리를 흔드는 것이 아니라 머리가 앞으로 나간 후 정지되고 몸이 따라가는 것이지만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흔드는 것처럼 보입니다.주변 환경에 따라 머리 흔들림의 정도가 다른데, 주변환경에 딱히 변화가 없으면 머리를 흔들지 않습니다.비둘기는 눈이 머리의 양옆으로 치우쳐 있어 입체시각이 약하고 거리감각도 약합니다.머리가 먼저 앞으로 나가 고정된 상태로 주변 시각을 처리하는 시간을 갖습니다.머리가 고정되어있으므로 시야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입니다.래서 짧은 순간 주변 상황을 파악하기 용이합니다.시각적 안정성을 위해 머리를 흔들기에 비둘기가 직접 걷지않고 사람이 들고가도 머리를 앞뒤로 흔드는 행위를 합니다.이런 머리 움직임은 짐벌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의 분류에 따라 포유류, 양서류 등 여러개로 나누어지는데 분류된 군에 따라 수명이 유사한가요?
안녕하세요.동물 분류군에 따라서는 기대수명을 나누기는 어렵습니다.예시를 들어보면일반적으로 크기가 큰 동물이 수명이 길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하는 코끼리는 60~70년 고래의 수명70년 이상 처럼 매우 길지만, 생쥐의 경우 2~3년의 수명을 가집니다.갑각류의 경우도 바닷가재는 관리를 잘 해주면 100년이상 살 수 있고꽃게의 경우 약 3년의 수명을 가집니다. 도둑게는 7~15년 정도, 새우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6년 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파충류의 경우 도마뱀과 뱀 종류는 보통 25년 전후의 수명을 가지지만 같은 파충류인 거북이는 보통 100년정도, 육지거북 중 일부 종은 200년 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어류인 상어 종류 보통 20~30년 정도 생존하지만, 그린란드 상어는400년정 장수합니다. 많은 작은 물고기들은 1~2년을 살고 잉어는 40~50년정도 살 수 있습니다.이처럼 분류학적으로 같은 그룹에 속하더라도 수명은 종에따라 굉장히 차이가 납니다.
1311321331341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