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뱀이 천연지진관측계 라는 소리가 있던데 뱀의 특수능력이 있는가?
안녕하세요.중국에서 지진 전에 뱀들이 이상현상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고, 뱀의 이상현상을 보고 지진을 예측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동물들은 종종 이런 자연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특이한 행동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아직 동물들이 어떻게 이런 재해를 미리 예측하는지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이런 현상이 재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도 논쟁중입니다.다만 뱀이 지진을 예측한다면, 땅에 붙어서 생활하여 땅의 미세한 흔들림을 잘 느끼거나, 지진 발생 전 지층의 변화로 지하에서 유출되는 가스 냄새를 맡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Q. 실험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주는 영향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 축적되어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은 여러 실험으로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실험을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기본적으로 미세플라스틱 검출 실험은 힘든편입니다. 검출을 위해 특수한 장비가 필요합니다.너무 작기 때문인데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들이 분쇄되어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진 플라스틱입니다. 그리고 대부분 2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로 추정됩니다. 이는 머리카락 5만분의 1 크기입니다.--화장품 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추출해도 인체에 영향을 줄 만큼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추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알고 계신대로 미세플라스틱은 장기섭취하여 체내에 농축되어 영향을 주기 시작합니다. 흔히 생수병의 재활용시 미세플라스틱이 나와서 위험하다 라고 말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미세플라스틱으로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필요하고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인공적으로 분쇄하여 해당크기의 플라스틱들을 분리합니다. 다만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이를 일반인이 취급해도 되는지 확신이 없습니다.--생물에 주는 영향을 관찰해야하기 때문에 관련된 실험을 설계하여야합니다.보통 많이 사용되는 동물은 실험용 쥐입니다. 찾아본 실험에서는 mouse에 7일간 미세플라스틱을 경구투여했다고 합니다. 이 실험은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신경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어, 7일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쥐들을 해부하여 뇌와 혈액을 추출하고, 각 세포에서 세포사멸과 관련한 염증성 단백질발현양을 비교했습니다.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 각 군에 여러마리의 mouse가 필요하며, 실험 목적에 따라 검사할 장기와 단백질을 정하고 실험을 설계해야 합니다.--동물실험이 어렵다면 식물을 활용한 실험도 할 수 있습니다.미세플라스틱이 식물에 주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주는 물에 미세플라스틱을 섞거나, 혹은 키우는 흙에 미세플라스틱을 섞어서 키우는 등의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미세플라스틱의 농도만 달라야하며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해야합니다.각 농도는 여러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에 관련된 실험을 한 논문을 참고하여 정할 수 있습니다.식물의 성장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할 수도 있고, 각 부분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수확한 씨앗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검출해보거나, 수확한 씨앗을 다시 심었을 때 어떻게 자라는 지 등을 비교하여 유해성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혹은 야외의 여러 수서 환경에서 수질샘플과 생물샘플을 채취하여 비교분석하는 방법도 생각 할 수 있습니다.다만 이경우 샘플의 양이 충분히 많아야합니다.
Q. 미더덕이 제철이라 맛이 좋은데요. 미더덕 안에 차있는 물의 정체는?
안녕하세요.미더덕은 내부에 물이차있는 빈 공간이 있습니다. 미더덕은 바다속에서 입수공으로 물을 빨아드리고 출수공으로 물을 내보내면서 함께 딸려들어오는 해조류나 플랑크톤을 섭취합니다. 미더덕이 죽으면 입수공과 출수공이 닫히는데, 이 때 들어왔던 물이 안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갇히게 됩니다.그래서 이 물은 바닷물과, 미더덕의 내장체액, 해조류, 플랑크톤이 섞인 물입니다.맛때문에 이 물을 빼고 조리하기도 하지만 그냥 조리해서 먹어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