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Q.  시대마다 미의 기준이 변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대마다 미의 기준이 달라진다라는 것은 미를 떠나서 우리가 변한다는 전제에서부터 너무나 당연히 받아드려야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미의 가장 아름다운 이유가 될 수 있으며. 정지되지않고 변화하기때문에 그 미에 가치를 부려합니다. 어떠한 기준에는 그 전과 후가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큰 진리중 하나 일 것입니다. 시대가 변한다. 변한것 안에서 같음이 있고 같은것안에서 변함이 있고 이와같은 흐름을 읽는 사람들이 시대를 이끄는 선구자가 되는것입니다. 그러한 변화의 이유를 시대적으로 나열하자면 역사를 배우는것입니다. 역사를 배우는것은 과거를 배우는 것입니다. 과거는 미래를 알 수 있는 새로운 미의 접근이 되어줍니다.
Q.  예능과 만화가 갖는 사회적인 영향과 이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 예능이라는 것은 가볍게 생각없이 봐도 오감이 즐겁고 재미를 주는 것으로 오락프로 또는 대중의 공감을 얻는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같은 표현방식이어도 시사하는바가 다르고 좀 더 생각을 해보게하거나 좀 더 비유적이거나 은유적인 방식으로 표현해가면 정치적 풍자 사회적풍자 인문학적 풍자를 넘어 철학적 사유 넘어 오묘한 분위기로도 자극을 주거나 이해가 안되는 쪽으로까지 넘어갈 수 있습니다. 모든 작품 작업 개인이나 공동이 하는 이러한 작품들은 표현의 일부로서 큰 컨셉을 가지고 수위를 조절하거나 편집을 요합니다. 예술은 그 부분에서 개인의 생각의큰 통념을 작위적인 한 표현으로 제시한다면 예능은 그러한 생각이 지나치지않도록 가볍게 다가가기 좋은 표현입니다. 생각이 만드는 표현이자 그걸 받아드리고 느끼는 이들에게 달려있습니다. 하지만 그 차이는 분명 사유하는 바가 다르며 현실적인것과 감성적인것 차이에도 나뉠 수 있겠습니다. 만화는 예능과 달리 작가가 그린 그림위에 스토리를 달며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에따라 아동예능이 되기도 하고 성인예능이 될 수도 있으며 아주 난해한 예술이 되기도 합니다.
Q.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는다 하잖아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분은 시시각각 느끼는 감정입니다. 감정은 오르락내리락하는 커디션이라고 본다면 태도는 관계에 대한 것입니다. 예를들어 성격유형의 두가지를 놓고 한사람은 기분이 업다운이 심하다면 한사람은 기분이 업다운이 별로 없고 좋아도그냥 싫어도 그냥 이런 두 부류가 있다고 볼때 후자와 전자는 둘다 업다운이 다른샘이죠~ 그렇게 서로 합의가 되거나 이해가 되면 친구도되죠. 저 말은 궁긍적으로 단체생활이나 대인관계를 가지고 나타나는 방식으로 다운되어도 상대는 나와 다른 상태기에 내가 배려하는 컨셉을 갖는것을 뜻합니다. 내 기분 나쁘다고 좋은자리 망치니.. 그걸 타인들에게 나의기분을 맞추고 이해하라고 하면 이기적인샘인거죠!! 기분이 태도가 되지말자!! 내 감정이 행동으로 나타나는것을 때로는 고려하자!!! 라는 말입니다.
Q.  현대 미술이 미술적 가치가 있긴 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 일반대중들이 느끼고 공감하는 질문일듯합니다. 현대미술이 나오기까지 시대적미술사를 조금 이해하고 바라보시면 한 시대를 유행처럼 번지게하는 문화처럼 미술에도 계속해서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 개념이 있습니다. 유행이 패션처럼 돌고돌듯이 미술사도 그러합니다. 미술에는 크게 아방가르드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기존의 것을 거부하고 새로운 시도를 향해 선구적인 작품을 이끌어내고싶어하는 욕구가 존재합니다. 지금의시대는 현대입니다. 당신은 현대인입니까 라는 자기비판이 있듯이 우리는 현대를 살면서도 살아왔던 몇년도정서에 머물수 있습니다. 있던것을 편집하고 해체하고 지지고복고를 수차례하는 시기에서 시각예술은 더이상 끝이다라는 한계점이 계속 있었으나 또 새로운게 나오며 모든 미술예비자가 따라하고합니다. 이렇듯 미술의이데올로기나 확장의 개념은 개개인의 기준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와 구분을 현대에 와서 새롭게 평가받고 있는 시대가 포스트모더니즘시대입니다. 물론 더 난해해지고 어려운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해를 해보고 생각의 변환점을 얻어보시면 미술뿐만이 아닌 다른부분역시 달리보이게되실 수도 있습니다.
Q.  벽화도 예술작품으러 인정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은 원시 고대부터 내려오던 인류의 인문학적 무늬입니다. 시대정신을 기반하며 인류의 사유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런 시작이 동굴벽화로부터 있었고 각 지자체 및 단체 그룹의 공공프로젝트로 이어지게되었습니다. 물론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게 되는가에는 벽화를 제작한 인물의 커리어도 함께 있게되어 더욱 그런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거나 벽을 떼어내어 수장고에 보관하기도합니다. 예전에 한가람미술관에서 구스타브 클림트의전시에서 벽화를 옮겨온 작품도 있었습니다.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었으며 그 한국전시를 마지막으로 한다는 얘기도 있었습니다. 영국의 뱅크시 역시 벽에다 그림을 그려 사회풍자를 낳으며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모든 벽화작업을 작품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그에 따른 평가나 기준이 있겠습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