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술가의 작업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가마다 다양한 작업구상이 있으며 그 구상을 바탕으로 (예를들면 메모, 스케치, 에스키스 등) 크기와 재료를 정하게 됩니다. 이런과정을 한가지 작품 또는 다작을 하기 위한 큰 컨셉으로 시리즈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장르를 작업할것이냐에 따라서도 작업과정은 많이 달라집니다. 사실화작업을 하시는분들은 그에 적합한 사진이나 자료 등을 수집하는과정도 있으며, 즉흥적인 작업을 하는 작가는 여러가지의 실험을 통해 쓸모있는 작업을 취합하는 경우도 있으며, 작업소요시간, 예민한 과정 등이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실을 마구 어지럽히고 지저분한상태에서 작업하는사람도 있고 말끔히 싹 치우고 손을 싯고 작업히는사람도 있으며 일부러 게으름을 피우다 작업하는사람, 회사생활처럼 정확한 루틴을 만들어 작업하는사람 등등 다양합니다. 미술가들에게 공통점이 있다면 각기 다른 성향으로 작업방식은 다를 수 있으나 무진장 생각하고 수집하고 골똘히 집중하는것은 비슷합니다.
Q. 콘셉추얼 아트라는 건 어떤 미술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 시초한 콘셉추얼아트는 개념예술을 의미합니다. 예술이란 정의를 개념화하여 제시하거나 의미부여하는등 미니멀아트 이후에 태동한 예술운동이었습니다. 1961년 미국의 미술가 헨리 플린트가 개념예술(concept art)이란 말을 처음 썼으며, 67년 같은 미국의 미술가 솔 르윗이 『Paragraphs on Conceptual Art(개념예술론)』를 저술하여 일반화되었다. 언어에 의한 기술, 사진이나 도표에 의한 표시 등으로서 1960년 말의 미니멀 아트 이후 현대미술의 한 경향이 되었습니다. 이런 의미로서 콘셉추얼이라는 용어는 작품의 물리적 ∙ 시각적 측면에 대해 관념적인 면을 강조하여, 관념예술(Idea Art)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그러나 거기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예술의 개념(concept)이며, 그런 의미에서 미국의 조셉 코수드(Joseph Kosuth, 1938~)나 영국의 〈아트 랭귀지〉 그룹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예술의 개념에 관여되는 예술 혹은 예술에 있어서 자기정의(定義)의 시도라고 하겠다. 이밖에 미국의 더글러스 휴블러(Douglas Huebler, 1942~ ), 독일의 한네 다르보펜(Hanne Darboven, 1941~) 등도 손꼽을 수 있다.